문학을 하는 이유

2003.05.30 06:52

조정희 조회 수:571 추천:56

5월 30일자 한국일보,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의 한승원 편
사람은 가두어 놓고 살기를 좋아하는 영리한 동물이다. 들과 산에 사는 동물들을 끌어다가 울타리를 치고 가두어 길러 필요할 때에 잡아먹고, 집을 짓고 담을 쌓고 아내나 남편이나 아이들을 그 안에 가두어 놓고 기르지 않으면 불안해 한다. 나라와 고을과 마을을 만들고 성을 쌓고 그 안에 사람들을 가두고 다스린다. 그리고 스스로도 그 속에 갇혀야만 편안해진다.
사람은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마저도 가둔다. 혼자 살기 두려우므로 무리를 지어 그속에 자기를 가둔다. 무리는 이념을 가지게 되고, 모든 개인은 그 이념 속에 갇히게 된다. 자의반 타의반에 갖혀 산다. 모든 사상, 모든 주의 주장, 심지어 종교까지도 하나의 이념일 수 있다.
자기 가두어놓고 살기에 염증이 나면 자기를 풀어 놓으려 한다. 그렇지만 오랜 동안 자기를 풀어 놓지 못하고 곧 다시 가두어 놓는다. 자기 가두어 두기와 자기 풀어놓고 살기가 모순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극복하지 못한다. 그것은 한없이 거듭된다. 따지고 보면 자기를 풀어 놓는다는 것이 사실은 더 확실하게 자기를 자기 이념과 사상속에 가두는 것이다.
수탉은 자기가 늘 노래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이념과 사상의 강박 속에 갇혀 산다. 목청껏 노래하지 않으면 수탉일 수 없다는 의식이 속에 깊이 숨어있다. 그것이 사업이다. 사업을 하지 않으면 신명이 나지 않고 신명이 나지않는 삶은 죽음 한 가지이다. 사람은 신명(사업)을 위해 살아 있어야 한다. 신명속에 갇혀 사는 신명의 노예이다.
그 사업은 무엇인데 어디에서 왔는가. 그것은 꽃이 왜 피는데 어디에서 왔는가 하는 질문, 나는 왜 소설을 쓰는데 그 소설은 어디에서 왔는가 하는 질문하고 같을 터이다.
나의 삶은 나의 본래 모습(원형)으로 회귀하려한다. 나는 어머니와 아버지로부터 왔고, 어머니와 아버지는 그들의 어머니 아버지에게서 왔다. 그 뿌리는 우주 생성의 첫 순간으로 뻗어 있다. 애초에 불과 물만 있었고, 그것이 땅을 만들고 땅이 푸나무와 짐승을 만들었다. 푸나무를 짐승이 먹고, 사람이 푸나무와 짐승을 먹고 살아간다. 먹이사슬의 꼭지점에 서 있는 사람은 텅빈 하늘로 날아갈 꿈을 꾸고 산다. 하늘은 신의 또 다른 이름이다. 신은 완성된 존재이다. 그것은 우주를 만든 불과 물의 영혼일 터이다. 우주의 원형이 그것이다. 소라고동의 나선처럼 한사코 오른쪽으로 돌려고 하는 무늬가 내 속에 있다.
소설을 쓰는 것은 독자에게 우리 삶의 진실에 대하여 질문하기에 다름 아니다. 소설가는 살아 있는 한 끝없는 우주의 율동에 대한 의문 속에 잠겨있고 그는 늘 그 의문을 수탉처럼 스스로에게 그리고 독자로부터 증명받기이다.
정다산은 강진에서 책 한 권을 저술할 때마다 그것을 하필 고해절도인 흑산도에서 유배살이 하고 있는 형 약전에게 보내어 증명 받으려고 했다. 약전 또한 자기 저술을 동생 약용에게 보내 증명 받으려고 했다.
수탉과 꽃은 자기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소리쳐 노래하고 울긋불긋한 색깔로 자기 몸을 치장하고, 또한 귀 가진 모든 것들로부터 자기 노래의 아름답고 고귀함을 증명받고 싶어하고 눈 가지고 코 가진 것들로부터 고혹적이 교태와 향기를 증명 받고 싶어한다.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5
어제:
6
전체:
19,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