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2.28 05:24

대지

조회 수 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지



                      유성룡




섬은
大志를 향한
독학이다.

유상한 것 같으면서도
무상한 부모와 자식같은
신실(信實)한 부부의 일상의 탈출같은
소일(消日)하는 새장의 농중조(籠中鳥)
너와 나같은
단 한번만의 부정한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하늘을 우러러 방긋한 치자다소(癡者多笑)
심해(深海) 저면(底面)의 자리한 근성(根性)이다.





농중조(籠中鳥):새장에 기르는 새. 자유 없는 신세의 비유.

치자다소(痴者多笑): 어리석은 사람은 웃을 만하지 않은 데에도 웃기를 잘한다는 뜻.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8 시조 더하기 곱하기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3.03 118
467 황토물 / 성백군 하늘호수 2023.04.19 118
466 사람 잡는 폭탄 / 성백군 하늘호수 2023.07.25 118
465 대청소를 읽고 박성춘 2007.11.21 117
464 볶음 멸치 한 마리 / 성백군 하늘호수 2020.09.29 117
463 白서(白書) 가슴에 품다 강민경 2017.02.16 117
462 사랑은 그런 것이다/강민경 강민경 2018.10.14 117
461 바람, 나무, 덩굴나팔꽃의 삼각관계 / 필재 김원각 泌縡 2019.06.25 117
460 시조 봄볕 -하나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07 117
459 시조 건강한 인연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2.24 117
458 시조 연(鳶) / 천숙녀 1 file 독도시인 2021.03.16 117
457 시조 말의 맛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3.29 117
456 변곡점 1 file 유진왕 2021.07.16 117
455 시조 코로나 19 –서울 하늘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9.07 117
454 시조 코로나 19- 가을 오면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9.09 117
453 시조 독도칙령기념일獨島勅令紀念日이어야 한다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10.25 117
452 시조 2월 엽서 . 2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2.16 117
451 봄바람이 찾아온 하와이 / 泌縡 김원각 泌縡 2019.06.15 116
450 2017년 4월아 하늘호수 2017.04.26 116
449 봄이 왔다고 억지 쓰는 몸 하늘호수 2017.05.02 116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