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엄마를 정말 미워했어요

2020.07.20 12:59

딸랑구 조회 수:1

새엄마를 정말 미워했어요
0720_1.jpg


내가 12살이 되던 해에 엄마는 하늘나라로 가셨습니다.
그리고 오빠와 저를 혼자서 돌보던 아빠는
내가 중학생이 되던 해에 새엄마를
집으로 데려왔습니다.

엄마라고 부르라는 아빠의 말씀을 우리 남매는
따르지 않았습니다.

결국, 생전 처음 겪어보는 아빠의 회초리로
혼나게 되었고 오빠는 어색하게 "엄마"라고
겨우 목소리를 냈지만, 난 끝까지 엄마라고
부르지 않았습니다.

왠지 엄마라고 부르는 순간 돌아가신 진짜 엄마는
영영 우리 곁을 떠나버릴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새엄마가 필사적으로 말리는 바람에 멈추게 되었지만,
어느새 내 가슴에는 새엄마에 대한 적개심이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고 새엄마를 더 미워하게 되는
사건이 벌어졌는데, 내 방에 있던 엄마 사진을
아빠가 버린다고 가져가 버린 것입니다.
엄마 사진 때문에 내가 새엄마를
미워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때부터 새엄마에 대한 반항이 시작되었습니다.
다른 사람의 기준에서 새엄마는 착하신 분이었지만,
그때는 그 착함마저도 위선으로 보였습니다.
난 새엄마의 존재를 부정하였습니다.

그해 가을 소풍날이었습니다.
학교 근처 계곡으로 소풍을 갔지만,
도시락을 싸가지 않았습니다.
소풍이라고 집안 식구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점심시간이 되고 모두 점심을 먹을 때,
계곡 아래쪽을 서성이고 있는 새엄마가 보였습니다.
손에는 도시락이 들려있었습니다.

뒤늦게 내 친구 엄마한테서 소풍이라는
소식을 듣고 급하게 도시락을 싸 오신 모양이었습니다.
도시락을 건네받은 나는 새엄마가 보는 앞에서
쓰레기통에 쏟아버렸습니다.

그런 저의 행동에 새엄마는 화를 내는 대신에
손수건을 눈 아래 갖다 대고 있었습니다.
얼핏 눈에는 물기가 반짝였지만
난 개의치 않았습니다.

그렇게 증오와 미움 속에 중학 시절을 보내고
3학년이 끝나갈 무렵 고입 진학 상담을 해야 했습니다.
아빠와 새엄마는 담임선생님 말씀대로 인문고 진학을 원하셨지만,
난 기숙사가 있는 실업계 학교를 고집하였습니다.

하루라도 빨리 집을 떠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으리라 다짐까지 했습니다.
결국, 내 고집대로 원서를 냈고 학교 기숙사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기숙사에서 사용할 짐을 가방에 넣는데
새엄마는 어린 제가 안쓰러운지 울고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더 모질게 결심했습니다.
정말 다시는 집에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학교 기숙사에 도착해서도 보름이 넘도록
집에 연락하지 않았습니다.
학교생활에 조금씩 적응이 되어 갈 무렵,
옷 가방을 정리하는데 트렁크 안에 곱게 포장된
비닐봉지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분명 누군가 가방 속에 넣어놓은 비닐봉지.
그 안에는 양말과 속옷 그리고 내복이 들어있었습니다.
그리고 새엄마가 가지런한 글씨체로 쓴
편지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편지지 안에는 아빠가 가져간
엄마 사진이 들어있었습니다.
새엄마가 아빠 몰래 사진을 편지지에
넣어 보낸 것이었습니다.

이제껏 독하게 참았던 눈물이 흘러내렸습니다.
눈물 콧물 범벅이 된 채로 편지를
읽고 또 읽었습니다.

그동안 쌓였던 감정의 앙금이 눈물에
씻겨 내려가는 순간이었습니다.
엄마가 돌아가신 이후 처음으로 밤새도록
울고 또 울었습니다.

며칠 후 기숙사에 들어간 뒤 처음으로
집을 찾아갔는데 그날은 밤새 눈이 많이 내려
들판에 수북이 쌓여있었습니다.

멀리서 새엄마가... 아니 엄마가 나와서
날 기다리고 계셨습니다.

"엄... 마... 저 때문에 많이 속상하셨죠?
그동안 너무 죄송하고 잘못했어요."

어색해서 제대로 말도 못 하고 웅얼거리는 나를,
엄마는 눈물을 흘리며 따뜻한 두 팔로
감싸 안아 주셨습니다.


0720_3.jpg


누군가에 대한 미움이 한계치를 넘는다면
한 발짝만 물러나서 상대를 객관적으로
바라보세요.

때로는 마음 안에 가득 찬 증오나
적개심 때문에 상대방의 진심을 제대로
보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명언
나무는 제 손으로 가지를 꺾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은 제 마음으로 가까운 이들을
베어버린다.
- 톨스토이 –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87 원두막과 개똥참외 구연식 2020.07.21 2
1686 바이칼 호수의 온도 관리 능력 고도원 2020.07.21 5
1685 벌개미취 꽃 백승훈 2020.07.21 3
» 새엄마를 정말 미워했어요 딸랑구 2020.07.20 1
1683 지금 생각하면 곽창선 2020.07.20 1
1682 산과 삶에 대한 명언들 힐러리 2020.07.19 46
1681 남의 실수에서 배운다 고도원 2020.07.19 3
1680 정순량 시인의 팔순기념문집 출간을 축하하며 김학 2020.07.18 4
1679 건져 주심 한성덕 2020.07.18 2
1678 이사도라 던컨 정태표 2020.07.18 7
1677 모파상의 묘비명 권희면 2020.07.17 4
1676 여섯 가지의 감옥 감동현 2020.07.17 1
1675 행운과 불운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덕원 2020.07.17 4
1674 나팔을 불려면 박제철 2020.07.16 2
1673 수필가 고강영의 첫 수필집 출간을 축하하며 김학 2020.07.16 0
1672 나그네 이우철 2020.07.16 0
1671 뻐꾸기의 심술 한성덕 2020.07.16 0
1670 여운 곽창선 2020.07.15 3
1669 마음이 잠들어야 몸도 잠든다 홍치순 2020.07.14 3
1668 노후의 친구, 연금 구연식 2020.07.1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