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아픔을 함께 넘는 이들

2025.04.22 13:12

김수영 조회 수:28

상실의 아픔을 함께 넘는 이들4.jpg

 제 26회 '상실 회복' 세미나를 연 권사님이시다. 집에서 정원에서 모두 60여명이 모였다. 신앙간증을 하고있다.

상실의 아픔을 험께 넘는 이들 3.jpg

                           세미나가 끝난 후 재미있는 게임도 하고 상도 많이 타다.

상실의 아픔을 험께 넘는 이들.jpg

         권사님 댁에서 열린 제 26회 '상실 회복' 의 세미나에 참석 '부활하신 주님' 한 글 영어 시를 낭송하다

상실의 아픔을 험께 넘는 이들2.jpg

    60여명의 회언들이 모여 세미나에 열중하고 있다. 찬송도 부르고 영상도 보고 토론도 하고......

상실의 아픔을 함께 넘는 이들 5음식.jpg

                            권사님이 소수 자비로 만드신 푸짐한 음식으로 대접하다

상실의 아픔을 함께 넘는 이들

                                                                                    김수영

   살아온 세월을 되돌아보면, 가족의 소중한은 두말할 나위 없다. 하지만 사회라는 거대한 울타리 안에서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과 부딪히고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그중에도 진정한 친구를 얻고, 누군가의 친구가 되어 살아가는 것은 참으로 값진 경험이다. 오래전, 중학교 시절부터 대학 졸업 후까지 끈끈한 우정을 이어왔던 친구가 있었다. 결혼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서 안타깝게도 연락이 끊겼었다. 그러던 어느 , 팔순을 맞아 출판기념회를 겸한 잔치를 열게 되었는데, 기적처럼 60 만에 그토록 찾아 헤매던 친구와 연락이 닿았다. 뉴욕에서 한달음에 달려온 친구를 만났을 때의 감격은 이루 말할 없었다. 비록 멀리 떨어져 살기에 자주 만나지는 못하지만, 1년에 한두 번이라도 얼굴을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기쁨이다.

   미국 이민 생활 신앙 공동체 안에서 만남 A 권사는 흔치 않은 강인함과 따뜻함을 동시에 지닌 분이다. 늦은 나이에 결혼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었지만, 남편이 뒤늦게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개업한 병원이 번창하던 갑작스러운 췌장암으로 6개월 만에 세상을 떠나는 아픔을 겪었다. 충격과 슬픔 속에서 힘겨운 시간을 보내던 A권사에게 주변에서 홈스테이를 권유했고, 이를 계기로 한국에서 유학 초중고 학생들을 따뜻하게 보살피며 집에서 기독교 신앙을 심어주고 헌신적으로 섬겨왔다. 코로나가 창궐하자 학생들이 한국에서  못오게 되어 지금은 한두 돌보고 있다.

   그녀는 남가주사랑의교회에 출석하고 있는데, 교회 안에는 그녀처럼, 배우자나 자녀를 먼저 떠나보낸 교인들이 많다고 한다. 교회에서는 이러한 아픔을 겪은 이들을 위한 상실 회복세미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며칠 그녀의 집에서 26 상실 회복세미나를 연다면서 나를 초대했다. 부활절을 앞두고 감동을 주는 시를 부탁해, 나는 부활하신 주님이라는 시를 낭송했다. 2 자녀들도 참석하여 영어 시를 낭송하는 순서도 마련되었다. 나는 시를 낭송한 나도 13 전에 남편을 여읜 상실의 아픔을 갖고 있다면서 그들을 위로했다.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 죄인들을 위해 독생자 예수님을 십자가에 돌아가시게 함으로 상실의 고통을 겪은 하나님이시기에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생각하면 성령님께서 우리의 상실의 고통을 치유해 주신다고 그들을 위로하며 격려했다.

   정성껏 준비한 풍성한 음식으로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함께 식사하며 얘기를 나누는 동안, 모두 배우자를 잃거나 자녀를먼저 떠나보낸 깊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있었다. 하지만, 모임을 통해 서로의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하며 상처를 더욱 빠르게 극복할 있었다고 그들은 고백했다. 성령 안에서 몸과 마음을 어루만지는 치유사역의 중요성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우리는 땅에서 삶뿐 아니라, 죽음 이후의 영원한 천국에 대한 소식을 부지런히 전해야 한다. 십자가와 천국에 대한 믿음을 전파하는 것이 중요한 사명임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중앙일보 오피니언 이아침에’ 20254 21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상실의 아픔을 함께 넘는 이들 file 김수영 2025.04.22 28
412 횔짝 핀 튤립 김수영 2025.04.07 31
411 데스칸소 정원에 만개한 봄 file 김수영 2025.04.02 58
410 겨울궁전과 볼세비키 혁명 김수영 2025.03.31 40
409 폼페이의 멸망 김수영 2025.02.08 54
408 터마이트 file 김수영 2025.02.08 96
407 안타까운 무안국제공항 참사 file 김수영 2024.12.31 62
406 믿음의 승리 김수영 2024.11.11 65
405 내잔이 넘치나이다 [12] 김수영 2024.10.06 79
404 증인되리라 김수영 2024.10.03 56
403 긍정적 사고의 힘 김수영 2024.09.25 93
402 Lily를 떠나보내고 file 김수영 2024.08.07 59
401 ‘플랑드르 들판에’ [2] 미주 2024.07.30 72
400 나의 반려견 file 김수영 2024.05.25 318
399 65년 잊힌 묘지를 찾아 김수영 2024.05.22 92
398 데스벨리 여행의 덤 김수영 2024.04.16 149
397 Were You There? 김수영 2024.04.04 236
396 고 김남조 시인을 추모하면서 김수영 2024.01.09 459
395 아인슈타인과 마릴린 먼로 김수영 2024.01.04 138
394 Broiled Salty Mackerel of Andong 김수영 2024.01.02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