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
전체:
281,114

이달의 작가

시편정해 시편 89편

2016.12.03 12:28

최선호 조회 수:24

 

 

                                      시편 89편

 

 

 

하나님께서 다윗과의 언약(삼하7장)에 따라 다윗 왕조를 회복시켜 주시기를 간구한 기도시이다. 당시 다윗 왕조는 몰락하여 열방의 조롱거리가 되어 있었다.

   

주제: 하나님과 다윗과의 사이에 맺은 언약.

소재: 다윗 왕조의 몰락(회복을 위한 기도).

배경: 다윗과 솔로몬에 의해 통일왕국이 남북왕국으로 분열되었던 르호보암 시대(왕상12:1~24;14:21~28)로 보는 견해와, 예루살렘이

        느부갓네살의 침공을 받고 여호야긴 왕이 포로로 잡혀 간 때(B.C. 597)를 배경(왕하24:8~17)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수사: 인용, 호격, 활유, 설의, 직유, 열거, 의인(신인동형), 제유, 반복.

경향: 민족 탄원시, 기도.

구성: 4 단. 수미상관법(양괄식: 1절과 52절- 여호와를 찬양). 기(1~13절), 승(14~29절), 전(30~37절), 결(38~52절).

작자: 에스라 인 에단의 마스길.

핵심어: 여호와.

특수어: 에단(Ethan)- 레위 지파의 므라리 자손 기스의 아들. 성전의 찬양대지휘자로 특히 놋 제금을 치는 사람(대상6:44;15:17

           ~19). 다윗이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길 때 헤만, 아삽 등과 함께 노래하는 자들과 함께 악기연주자들을 인도함.

         ․ 마스길(maskil)- 32편 특수어 해설 참조.

         ․ 셀라(Selah)- 3편 특수어 해설 참조.

         ․ 아멘(Amen)- 41편 특수어 해설 참조.

 

기(起): 하나님의 능력 ․ 창조주 ․ 주관자이심을 찬양


 1 내가 여호와의 인자하심을 영원히 노래하며

    주의 성실하심을 내 입으로 대대에 알게 하리이다

 2 내가 말하기를 인자하심을 영원히 세우시며

    주의 성실하심을 하늘에서 견고히 하시리라 하였나이다

 3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나의 택한 자와 언약을 맺으며

    내 종 다윗에게 맹세하기를

 4 내가 네 자손을 영원히 견고히 하며

    네 위를 대대에 세우리라 하였다 하셨나이다(셀라)

 5 여호와여

    주의 기사를 하늘이 찬양할 것이요

    주의 성실도 거룩한 자의 회중에서 찬양하리이다

 6 대저 궁창에서 능히 여호와와 비교할 자 누구며

    권능 있는 자 중에 여호와와 같은 자 누구리이까

 7 하나님은 거룩한 자의 회중에서 심히 엄위하시오며

    둘러 있는 모든 자 위에 더욱 두려워할 자시니이다

 8 여호와 만군의 하나님이여

    주와 같이 능한 자 누구리이까

    여호와여

    주의 성실하심이 주를 둘렀나이다

 9 주께서 바다의 흉용함을 다스리시며

    그 파도가 일어날 때에 평정케 하시나이다

10 주께서 라합을 살륙 당한 자 같이 파쇄하시고

     주의 원수를 주의 능력의 팔로 흩으셨나이다

11 하늘이 주의 것이요

     땅도 주의 것이라

     세계와 그 중에 충만한 것을

     주께서 건설하셨나이다

12 남북을 주께서 창조하셨으니

     다볼과 헤르몬이 주의 이름을 인하여 즐거워하나이다

13 주의 팔에 능력이 있사오며

     주의 손은 강하고 주의 오른손은 높으시니이다


1절: 여호와의 속성(인자, 성실)을 노래하며 대대에 알릴 의무의 다짐이다. 1절은 52절과 함께 여호와 찬양으로 수미상관(양괄식)을 이루고 있다.

2절: 1절에서의 찬양 내용(인자하심, 성실하심)을 인용으로 강조하고 있다. “인자하심을 영원히 세우시며 주의 성실하심을 하늘에서 견고히 하시리라”가 그것이다. 하나님 속성의 영원하심을 노래하고 있다.

3~4절: 주께서 이르신 말씀이 인용되었다. “내가 나의 택한 자와 언약을 맺으며 내 종 다윗에게 맹세하기를 내가 네 자손을 영원히 견고히 하며 네 위를 대대에 세우리라 하였다”고 하신 이 언약은 주님을 믿고 따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주신 약속이다.

5절: “하늘이 찬양할 것이요”는 활유법과 의인법을 겸한 표현이다. 공간으로 보이는 “하늘”은 무생물체일 뿐 아니라 인격을 소유하지도 않은 대상으로써 생물체가 되어 인격을 소유한 구실(찬양)을 하기 때문이다. “거룩한 자”는 ‘천사’를 의미하며, “천사들의 회중”은 그 공동체(또는 군중)이다(시29:1).

6절: 설의법과 반복법의 강조이다. “누구며… 누구리이까”는 하나님의 유일성을 설의법으로 반복, 강조하고 있다(사40:18). “권능 있는 자”는 ‘천사’를 의미한다(시29:1).

7절: 여호와의 위엄과 경외심이 강조되어 있다. “거룩한 자의 회중”과 “둘러있는 모든 자”는 천사의 공동체(또는 군중)이다.

8절: “여호와 만군의 하나님이여”와 “여호와여”의 호격의 반복을 통하여 간절함이 강조되고 있다. “주와 같이 능한 자 누구리이까”는 주는 능력의 유일하신 분임을 설의적으로 강조하고 “주의 선하심이 주를 둘렀나이다”는 신앙고백에 따른 선언이다. 여호와의 속성(능력, 성실)이 강조되어 있다. 어김없이 약속을 지키신 하나님의 능력과 성실하심을 찬양하고 있다. 

9절: 주님의 초자연적인 능력을 바다와 파도를 다스리심에 대입(代入) 강조하고 있다(시107:29).

10절: “라합”- 하나님에게 정복당한 악한 세력, 즉 용을 가리킨다(욥9:13;사51:9). 또는 애굽 군대의 상징. “주의 능력의 팔”은 의인법(擬人法)의 표현으로 원수를 멸하신 주님의 능력을 강조한다. 결국 본 절은 출애굽 시 홍해가 갈라진 장면을 말한 것이다.1)

11절: “하늘”과 “땅”은 실상 하늘과 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온 우주만물 삼라만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하늘”, “땅”을 열거하여 강조하고 있다. “주의 것이요… 주의 것이라”는 반복의 효과를 내어 “주의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우주의 창조자도 주님이시요 우주의 소유주도 주님이시다.

12절: “남북”은 방향적(方向的) 개념이 아니라 공간적(空間的) 개념으로 우주 전체를 의미한다.

근동지방의 우주관으로 세계 양극의 표현이다(욥26:7). “다볼과 헤르몬”은 서(西)와 동(東)을 대칭하므로 12절은 동서남북을 통틀어 대유(代喩)하고 있다. “주의 이름”은 주님의 속성을 제유(提喩)하고 있다.

13절: “주의 팔”, “주의 손”, “주의 오른손” 등은 의인법(神人同形法)의 표현으로 반복효과로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승(承): 하나님의 공의와 통치자이심을 선포


14 의와 공의가 주의 보좌의 기초라

     인자함과 진실함이 주를 앞서 행하나이다

15 즐거운 소리를 아는 백성은 유복한 자라

     여호와여

     저희가 주의 얼굴빛에 다니며

16 종일 주의 이름으로 기뻐하며

     주의 의로 인하여 높아지오니

17 주는 저희 힘의 영광이심이라

     우리 뿔이 주의 은총으로 높아지오리니

18 우리 방패는 여호와께 속하였고

     우리 왕은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에게 속하였음이니이다

19 주께서 이상 중에 주의 성도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돕는 힘을 능력 있는 자에게 더하며

     백성 중에서 택한 자를 높였으되

20 내가 내 종 다윗을 찾아 나의 거룩한 기름으로 부었도다

21 내 손이 저와 함께 하여 견고히 하고

     내 팔이 그를 힘이 있게 하리로다

22 원수가 저에게서 강탈치 못하며

     악한 자가 저를 곤고케 못하리로다

23 내가 저의 앞에서 그 대적을 박멸하며

     저를 한하는 자를 치려니와

24 나의 성실함과 인자함이 저와 함께 하리니

     내 이름을 인하여 그 뿔이 높아지리로다

25 내가 또 그 손을 바다 위에 세우며

     오른손을 강들 위에 세우리니

26 저가 내게 부르기를 주는

     나의 아버지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나의 구원의 바위시라 하리로다

27 내가 또 저로 장자를 삼고

     세계 열왕의 으뜸이 되게 하며

28 저를 위하여 나의 인자함을 영구히 지키고

     저로 더불어 한 나의 언약을 굳게 세우며

29 또 그 후손을 영구케 하여

     그 위를 하늘의 날과 같게 하리로다


14절: 9~13절을 통하여 여호와께서 전능하신 창조주 구속주이심을 선언하고, 14~18절을 통하여서는 의기소침해진 왕과 백성을 기도로 고무시키고,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위해 공의와 진실로 통치하시는 분이심을 선포하고 있다. “의와 공의”, “인자와 진실”이 열거, 강조되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하나님의 속성이다.

15절: 하나님의 구원을 기뻐하며 그 사랑 안에서 행하는 자는 복이 있음을 말씀한다. “즐거운 소리”는 구속받은 자의 찬송을 나타낸다. “즐거운 소리를 아는 백성”은 영화로우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자들과 그 찬양을 들으며 기뻐하는 자들이다(시27:6;삼상4:5;삼하6:15). “주의 얼굴 빛”은 주의 얼굴에서 발산되는 광채(하나님의 사랑: 민6:24~26)로써,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을 의인법(神人同形)의 표현에 담아내고 있다. 복 있는 자(시112:1)는 하나님과 동행하는 자(창5:22)이다. 

16절: “주의 이름”과 “주의 의”는 하나님의 약속으로 주시는 기쁨이다.    

17절: “주는 저희 힘의 영광”은 우리에게 “뿔”이 되어 주심으로 성도에게는 무한한 은총이 된다. “뿔”은 “힘”을 은유한 상징적 보조관념이다.

18절: 왕권을 가지신 하나님의 보호하심에 대한 감사의 찬양이다. “방패”와 “왕”은 동의적(同義的)으로 권능을 강조한 표현이다. 권능의 하나님은 공의의 통치자이심을 선포하고 있다.

19~20절: “주께서 이상 중에 주의 성도에게 말씀하시기를”은 삼하7:4~17절에 나단 선지자에게 주신 하나님의 말씀(“그 밤에 여호와의 말씀이 나단에게 임하여 가라사대”)을 바탕으로 한 시인의 시적 표현이다. “능력 있는 자”, “택한 자”, “내 종”은 동의어(同義語)로써 하나님의 통치의 대리자로 기름부음 받은 다윗을 지칭하고 있다. 구약시대에는 왕, 제사장, 선지자를 택할 때 기름을 부었다. 이스라엘을 선민으로 택하신 하나님께서 다윗을 대표자로 삼으시고 신정국가(神政國家)를 세우셨다.   

21절: 동의대구 문장(同義對句文章)이다. “내 손”과 “내 팔”은 신인동형의 동의어(同義語)로써 힘의 근원인 하나님의 보호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다윗을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22절: 동의대구 문장이다. 하나님의 보호하심이 반복, 강조되어 있다.

23~24절: 22절에 나타난 하나님의 보호가 구체화되어 있다. 하나님의 속성인 “성실”과 “인자”의 함께 하심으로 “뿔”이 높아진다. “뿔”은 17절의 “뿔”과 같은 표현으로 높임 받는 성도를 의미한다.

25절: 하나님께서 주권을 행사하심에 대한 신인동형법의 표현으로 “손”과 “오른손”이 점층적 강조효과를 더하고 있다.

26절: “나의 아버지”, “나의 하나님”, “나의 구원의 바위” 등, 열거, 반복으로 영적 안전의 기초가 되시는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나타낸다. “바위”는 안전한 보호의 힘이 되시는 여호와의 상징적(은유) 표현이다.

27절: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의 참 장자(長子)이시다(요3:16). 구약에 나타난 이스라엘, 에브라임, 다윗 등은 참 장자의 예표이었다(출4:22;학2:23). 27절의 장자는 하나님과 다윗 사이의 언약에 따른 권리, 의무의 상속자임을 나타내고 있다.

28~29절: 27절에서 장자로 하여금 세계 열왕의 으뜸이 되게 하시는 하나님의 약속된 자비와 언약이 열거, 강조되고 있다. “하늘의 날과 같게”는 변치 않는 영광을 비유(직유)한 수사이다.

 

전(轉): 하나님과 다윗과의 언약 진술


30 만일 그 자손이 내 법을 버리며

     내 규례대로 행치 아니하며

31 내 율례를 파하며 내 계명을 지키지 아니하면

32 내가 지팡이로 저희 범과를 다스리며

     채찍으로 저희 죄악을 징책하리로다

33 그러나 나의 인자함을 그에게서 다 거두지 아니하며

     나의 성실함도 폐하지 아니하며

34 내 언약을 파하지 아니하며

     내 입술에서 낸 것도 변치 아니하리로다

35 내가 나의 거룩함으로 한번 맹세하였은즉

     다윗에게 거짓을 아니할 것이라

36 그 후손이 장구하고 그 위는 해같이 내 앞에 항상 있으며

37 또 궁창의 확실한 증인 달같이

     영원히 견고케 되리라 하셨도다(셀라)


30~32절: 하나님을 버리거나 불순종하면 징계의 채찍(잠10:13)을 내릴 것을 경고하고 있다. “지팡이”와 “채찍”은 하나님 징계의 상징으로 비유된 표현이다(삼하7:14).

33~35절: 30~32절의 표현과 묘한 대조를 보여 수사적 절묘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30~32절은 하나님께서 채찍을 가하시는 반면, 33~35절에서는 이미 주어진 약속을 거두지 않으시겠다는 면에서 표현의 절묘함을 느끼게 된다. 이를 더욱 확실케 하는 것은 “그러나”(33절)의 역접부사이다. 반복과 열거로 하나님 언약의 성취를 강조하고 있다.

36~37절: “해같이”와 “달같이”의 직유(直喩) 수사로 영원하고 견고한 하나님 나라를 보여주고 있다. 

 

결(結): 수치를 당케 하심을 한탄하며 구원을 간구


38 그러나 주께서 주의 기름 부음 받은 자를 노하사

     물리쳐 버리셨으며

39 주의 종의 언약을 미워하사

     그 관을 땅에 던져 욕되게 하셨으며

40 저의 모든 울타리를 파괴하시며

     그 보장을 훼파하셨으므로

41 길로 지나는 자들에게 다 탈취를 당하며

     그 이웃에게 욕을 당하나이다

42 주께서 저의 대적의 오른손을 높이시고

     저희 모든 원수로 기쁘게 하셨으며

43 저의 칼날을 둔하게 하사

     저로 전장에 서지 못하게 하셨으며

44 저의 영광을 그치게 하시고

     그 위를 땅에 엎으셨으며

45 그 소년의 날을 단촉케 하시고

     저를 수치로 덮으셨나이다(셀라)

46 여호와여

     언제까지니이까

     스스로 영원히 숨기시리이까

     주의 노가 언제까지 불붙듯 하시겠나이까

47 나의 때가 얼마나 단촉한지 기억하소서

     주께서 모든 인생을 어찌 그리 허무하게 창조하셨는지요

48 누가 살아서 죽음을 보지 아니하고

     그 영혼을 음부의 권세에서 건지리이까(셀라)

49 주여

     주의 성실하심으로

     다윗에게 맹세하신 이전 인자하심이 어디 있나이까

50 주는 주의 종들의 받은 훼방을 기억하소서

     유력한 모든 민족의 훼방이 내 품에 있사오니

51 여호와여

     이 훼방은 주의 원수가

     주의 기름부음 받은 자의 행동을 훼방한 것이로소이다

52 여호와를 영원히 찬송할지어다 아멘 아멘


38~41절: “그러나”(38절)의 역접부사는 37절에서 보여준 영원한 나라의 건설이 수포로 돌아갔음을 나타낸다. 기름부음 받은 자가 영적으로 버림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crown)을 땅에 던져 (명예를 욕되게 하여) 왕권을 인정치 않으셨다는 시각적 수사이다. “울타리”는 이스라엘 영역의 경계선이다.

42~45절: 42절은 이스라엘의 패망에 대한 역설적 표현이다. 원수를 기쁘게 하시는 하나님이 아니시기 때문이다. “칼날”은 이스라엘의 군사력의 제유적 표현이다. “소년”은 이스라엘의 은유이다. 결국 이스라엘의 운명을 단촉시키시고 수치로 덮으셨다.

46절: 여호와의 분노하심에 대한 탄원이다.

47절: 인생의 공허함과 짧은 생명에 대한 탄원이지만 45절에서 이스라엘을 “소년”으로 비유하였음으로 이스라엘 운명의 단촉을 한탄함이 된다.

48절: 유한한 생명체로서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임을 설의법으로 강조하고 있다.

49절: ‘다윗에게 언약하신 주의 성실과 인자하심이 어디 있느냐’며 극단적인 탄원을 하고 있다.

50~51절: 여호와의 원수들이 기름부음 받은 자들을 훼방한 일은 신성모독임을 고하고 있다.

52절: 즐거울 때나 괴로울 때나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고 찬양하는 일은 시편기자들의 공통된 신앙이다. 이 또한 시편의 특성이기도 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시편 76편 최선호 2016.12.03 20
74 시편 77편 최선호 2016.12.03 20
73 시편 78편 최선호 2016.12.03 49
72 시편 79편 최선호 2016.12.03 9
71 시편 80편 최선호 2016.12.03 12
70 시편 81편 최선호 2016.12.03 31
69 시편 82편 최선호 2016.12.03 17
68 시편 83편 최선호 2016.12.03 32
67 시편 84편 최선호 2016.12.03 55
66 시편 85편 최선호 2016.12.03 18
65 시편 86편 최선호 2016.12.03 18
64 시편 87편 최선호 2016.12.03 192
63 시편 88편 최선호 2016.12.03 14
» 시편 89편 최선호 2016.12.03 24
61 시편 90편 최선호 2016.12.03 16
60 시편 91편 최선호 2016.12.03 30
59 시편 92편 최선호 2016.12.03 17
58 시편 93편 최선호 2016.12.03 15
57 시편 94편 최선호 2016.12.03 21
56 시편 95편 최선호 2016.12.0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