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
전체:
281,114

이달의 작가

시편정해 시편 86편

2016.12.03 12:44

최선호 조회 수:18

 

 

 

                                     시편 86편

 

 

 

3권에 실린 다윗의 유일한 작품(기도)이다. 교만과 포악을 일삼는 대적들로부터 공격을 받는 다윗이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하고 있다.

 

주제: 여호와의 도움과 위로.

소재: 대적에게 받는 위협(14절).

배경: 다윗이 교만하고 포악한 대적들의 공격에 직면한 때.

수사: 호격, 반복, 의인(신인동형), 과장.

경향: 탄원(개인적), 기도.

구성: 3 단. 기(1~7절), 서(8~13절), 결(14~17절).

작자: 다윗(의 기도).

핵심어: 주(여호와).

 

기(起): 시인의 고백과 기도의 응답 호소


 1 여호와여

   나는 곤고하고 궁핍하오니

   귀를 기울여 내게 응답하소서

 2 나는 경건하오니

    내 영혼을 보존하소서

    내 주 하나님이여

    주를 의지하는 종을 구원하소서

 3 주여

    나를 긍휼히 여기소서

    내가 종일 주께 부르짖나이다

 4 주여

    내 영혼이 주를 우러러보오니

    주여

    내 영혼을 기쁘게 하소서

 5 주는 선하사 사유하기를 즐기시며

    주께 부르짖는 자에게 인자함이 후하심이니이다

 6 여호와여

    나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

    나의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

 7 나의 환난 날에 내가 주께 부르짖으리니

    주께서 내게 응답하시리이다


1절: “여호와여”의 호격으로 간절함을 나타내고, 1절부터 시 전체에 “여호와여”, “주여”가 여러 번 반복되어 있다. 열심 있는 기도이다. “곤고하고 궁핍하오니”는 적들의 공격으로 비참해 있는 자신의 입장이다. “귀를 기울여 내게 응답하소서”의 “귀”는 여호와의 귀이다. 그러므로 의인법(신인동형)의 표현이다. 이 문장에는 “귀”를 등장시키지 않아도 번역이 가능하다. ‘들으소서 주여 그리고 내게 응답하소서’(Hear, O Lord, and answer me)로 해도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2절: “나는 경건하오니”는 “주를 의지하오니”와 상통한다. 주를 의지함은 경건에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영혼 보존 섭리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곤고하고 궁핍하오니”(1절)와 함께 “경건하오니”는 자신 고백의 핵심이다. “내 영혼 보존”을 부탁함은 하나님께서 믿는 자의 보호자이시기 때문이다(욥7:20;10:12).

3절: 기도를 통하여 긍휼을 구하고 있다. “종일 부르짖으오니”는 강조효과를 노린 과장법(誇張法)의 수사이다.    

4절: 하나님을 향한 생활이다. “주를 우러러봄”은 기쁨으로 통한다.

5절: 선(Good)은 사유(forgiving)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의 선하심”으로 말미암아 사유와 인자하심을 받게 됨으로(사63:9) 회복된 기쁨을 누리게 된다. 이것은 끈기 있는 기도를 통하여 얻어진다. 

6절: “귀를 기울이시고”는 의인(신인동형)법이다. “나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와 “나의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는 동의적 표현(同義的 表現)이므로 6절은 동의대구 문장이다.

7절: 6절과 7절의 “나의 환난 날에 내가 주께 부르짖으리니”는 도치관계(倒置關係)이다. 이를 정치(定置)로 바꾸면 “나의 환난 날에 내가 주께 부르짖으리니 여호와여 나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 나의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가 된다. 이를 도치시킨 이유는 6절의 “귀를 기울이시고… 들으소서”를 강조함에 있다.

 

서(敍): 찬양 ․ 감사와 간구


 8 주여

    신들 중에 주와 같은 자 없사오며

    주의 행사와 같음도 없나이다

 9 주여

    주의 지으신 모든 열방이 와서 주의 앞에 경배하며

    주의 이름에 영화를 돌리리이다

10 대저 주는 광대하사 기사를 행하시오니

     주만 하나님이시니이다

11 여호와여

     주의 도로 내게 가르치소서

     내가 주의 진리에 행하오리니

     일심으로 주의 이름을 경외하게 하소서

12 주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전심으로 주를 찬송하고

     영영토록 주의 이름에 영화를 돌리오리니

13 이는 내게 향하신 주의 인자가 크사

     내 영혼을 깊은 음부에서 건지셨음니이다


8절: “주의 신”과 “주의 행사”의 유일성(唯一性)을 강조한다. “없사오며… 없나이다”는 강조 효과를 위한 반복이다. 주는 다른 대상과 같지도 않고 다른 대상을 흉내 내지도 않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하신 분이다. 10절과도 일맥상통한다.

9절: 온 세상이 주님께 경배와 영광을 돌린다. 이 중에는 이방인(하나님의 계명을 지키지 않던 이스라엘 사람들)의 개종(사9:2)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10절: 하나님의 속성(광대하사)과 유일성(唯一性)이 강조되어 있다. 8절과도 상통한다.

11절: “주의 도”, “주의 진리”, “주의 이름”은 동일한 개념의 단어들이다. 이들의 열거는 “주의 이름 경외”의 강조를 위함이다.

12~13절: 죽음(음부)에 이를 수밖에 없는 자신을 주의 인자하심으로 건짐을 받고 찬양과 감사를 드리는 절대 신앙의 고백이다. “내게 향하신 주의 인자”는 다윗이 받았던 하나님의 사랑이다.

 

결(結): 환난의 실상 호소와 은혜 간구


14 하나님이여

     교만한 자가 일어나 나를 치고

     강포한 자의 무리가 내 혼을 찾았사오며

     자기 앞에 주를 두지 아니하였나이다

15 그러나 주여

     주는 긍휼히 여기시며

     은혜를 베푸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인자와 진실이 풍성하신 하나님이시오니

16 내게로 돌이키사 나를 긍휼히 여기소서

     주의 종에게 힘을 주시고

     주의 여종의 아들을 구원하소서

17 은총의 표징을 내게 보이소서

     그러면 나를 미워하는 저희가 보고 부끄러워하오리니

     여호와여

     주는 나를 돕고 위로하심이니이다


14절: 영혼 대적(시94:21)의 “교만”, “강포”가 열거, 반복으로 강조되어 있다. 무신론자들의 만행이다.

15절: “그러나”는 역접부사(逆接副詞)로써 14절과 상반된 15절을 연결시키고 있다. 14절은 악인들의 만행인 반면, 15절은 주님의 속성인 “긍휼”, “은혜”, “노하기를 더디 하심”, “인자와 진실” 등이 열거, 강조되어 있다.

16절: 긍휼을 구하는 애원이다. “여종의 아들”과 같은 표현은 친밀감을 더하여 주는 표현으로써 기름부음 받은 종을 일컫는다. “나”, “주의 종”, “주의 여종의 아들”은 시인 자신을 대신한 표현이다.

17절: 시인(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은총의 표징”으로 맺어졌다(창9:12). 무신론자들에게 다윗에 대한 “은총의 표징”을 보여줄 때 대적들이 부끄러워하고, 시인 자신은 도움과 위로(사12:1)를 받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시편 76편 최선호 2016.12.03 20
74 시편 77편 최선호 2016.12.03 20
73 시편 78편 최선호 2016.12.03 49
72 시편 79편 최선호 2016.12.03 9
71 시편 80편 최선호 2016.12.03 12
70 시편 81편 최선호 2016.12.03 31
69 시편 82편 최선호 2016.12.03 17
68 시편 83편 최선호 2016.12.03 32
67 시편 84편 최선호 2016.12.03 55
66 시편 85편 최선호 2016.12.03 18
» 시편 86편 최선호 2016.12.03 18
64 시편 87편 최선호 2016.12.03 192
63 시편 88편 최선호 2016.12.03 14
62 시편 89편 최선호 2016.12.03 24
61 시편 90편 최선호 2016.12.03 16
60 시편 91편 최선호 2016.12.03 30
59 시편 92편 최선호 2016.12.03 17
58 시편 93편 최선호 2016.12.03 15
57 시편 94편 최선호 2016.12.03 21
56 시편 95편 최선호 2016.12.0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