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의 "세상 이야기" (1)생즉사 사즉생( 生卽死 死卽生)







RG News | webmaster@rgnews.kr
    
승인 2015.01.12 18:08:42      

(1) 생즉사 사즉생( 生卽死 死卽生)

복잡다기한 세상사를 살다보면 우린 때로 ‘사는게 복잡하고, 고통이다!’ ‘사는게 이렇게 버거울 수 있느냐 !’하고 푸념과 탄식을 한다.



인간이란 이름으로 태어난 우리의 삶이 그저 새롭고 아름답고 아귀자귀한 생의 내음으로 점철되어야 함에도 , 우리가 살고 있는 현세는 참으로 고난하고, 힘들기 짝이 없다.



그래서 우리 주변에는 자살이라는 큰 죄업으로 자신

의 생을 마감하는 일이 종종 있다.



그러나, 높은 산에 올라 보라. 점점이 게 딱지 처럼 이어진 집들, 그리고 바둑판처럼 펼쳐진 들녁, 꼬리를 달고 질주하는 손톱만한 차량들.



다 모두가 현대문명의 이기에 산물이요, 우리 인간의 지나친 욕심과 현실에의 집착이 빚어낸 결과일 수 밖에 없다. 또, 비행기를 타보라. 새 깃털 같은 양탄자를 깐듯한 흰구름 장막으로 산하, 참으로 가소롭기 짝이 없다. 한 줌의 손에 잡힐 듯 들어오는 저 아래 산하의 이기들을 내 것으로 소유, 치부하고자 싸우는 우리 인간들.



드넓은 바닷가를 가보라.

끝 간데 없이 이어진 수평선 그 위로 고깃배 통통거리며 오가고 그 선단 위로는 감매기 한가롭게 비상하고 있다. 각종 물욕으로 가득한 인간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푸르런 창해의 바다는 진실, 경이로움 그 자체이다.



우리는 살고 있는 삶의 현장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한 걸음 뒤로 비켜나 생각해보자. 아무리 뛰어난 화가도 그림을 그리다가 자꾸만 뒤로 멀찌기 벗어나 이젤에 걸려 있는 화면상의 구도를 바라보는 것은 가까이 집착으로 인한 객관성의 결여와 자칫 그림의 구도가 한쪽으로 흐르는 걸 예방하기 위함이다.



사심과 욕심, 집착과 이기를 다 버리고 무소유(無所有)의 드넓은 사유(思惟)에서 세상을 보라. 그러면 참으로 가볍고 아름다운 진리와 미래가 보이는 세상이 올 것이다.



“생즉사 사즉생(生卽死, 死卽生)”이라.



살아 있는 것이 죽은 것이고, 죽은 것이 사는 것이라 하니 않았던가. 오면 오고 가면 가고, 좋으면 좋고, 나쁘면 나쁜 것이지. 굳이 욕심 가득한 인간의 잣대로 세상을 재려 하니까 늘 소용돌이가 생기는 것이다.



“생자필멸, 회자정리(生者必滅, 會者定離)”



이는 생명이 붙어 있는 것은 반드시 멸하고, 인간은 만나면 헤어지고 헤어지면 또 만나는 것이 세상의 이치라는 뜻이다.



오는 사람 막지 말고, 가는 사람 붙잡지 말라고 했다. 사람이 오기에 가고, 또한 가기에 오는 것 아닌가.



산의 오름이 있으면 내리막길이 있고, 내리막이 있다보면 또 오르막길이 있다. 잘 익은 참외도 때가 되어야 따먹는 것이다. 아침이 오면 반드시 노을진 석양의 저녁때가 온다. 행복하다보면 언제인가 불행의 늪이 예고 없이 찾아오고 적이 있으니 우방이 있고, 부자가 있으니 가난한 자가 있는 이치가 세상의 진리가 아니던가.



“낙이불류, 애이불비(樂而不流,哀而不悲)”



이는 즐거운 일이 있다하여 너무 즐거워 하지 말고, 슬픈일이 있다하여 너무 과하게 슬퍼하지 말라는 뜻이다.



오늘 기쁘다보면 내일 다시 불행이 오고 또 다음엔 행복의 꽃이 피 듯이 예고 없이 윤회하는 것 이것이 우리네 인생이다.그래서 인간만사 새옹지마라고 했지 않았던가.



호수와 같이 담담히 차분하게 매사를 대하다보면 즐거워 할 일도 , 슬퍼할 일도 없다. 그저 담담하고 그윽할 뿐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잘 웃고 잘 우는 사람을 ‘ 광대놀음’이라고 하고, 수시로 말을 바꿔 하는 사람을 ‘조령모개’ 식 인간이라고 말한다.



생즉사, 사즉생.

삶에 대한 지나친 집착, 죽음에 대한 불안과 초조. 이것이 우리 인간을 추하고 불안하고 이기적으로 만든다. 살다보면 죽는 것이고, 죽다보면 다시 태어나는 것이 우리네 인생이다.

아니, 모든 우주의 삼라만상이 태어나고 죽고 다시 씨가 뿌려지고 또 성장하고 그렇게 도는 것이 우주의 섭리요, 세상의 이치이다,



담담하고 그윽하게 삶을 관조 하며 살고, 깊이 있는 혜안과 성찰, 미래를 살피는 것 이것이 가장 바람직한 현시대를 사는 이상적인 군웅(群雄)이 아닐까.





작․가․소․개----------------------------------------------------------------------







김우영 (金禹榮) ․

충남 서천에서 출생 ․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 졸업 ․ 1989년 한국수필지와 시론지에 각 각 2회 추천 완료 문단에 등단 ․ 장편소설집「월드컵」단편소설집「라이따이한」외 저서 총29권 출간 ․ 한국문예대상, 서울특별시 시민대상, 독서문화공로 문화관광부 장관상, 한글유공 대전광역시장상, 한국농촌문학상 대상 농림부장관상, 대한민국 디지털문학 소설부분 대상, 2011년 문학작품대상, 중국 길림신문사 세계문학상 수필부문, 제1회 중국 두만강문학상, 제1회 중국 청도 연해문학상 수상 등 다수 ․ 한국문인협회, 한국소설가협회, 국제펜클럽한국본부, 한국문학비평가협회, 계간 문예마을 회원 ․ 대전중구문학회․한국해외문화교류회 사무국장 .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지역예술가 40인 선정 제주도 4박 5일 국비 연수 ․ 편지통 siin7004@hanmail.net ․ 작가방 http://cafe.daum.net/siin7004 ․ 손에 들고 다니는 목소리 010-6477-1744


길.mp3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0 당신이 나를 안다고요/강민경 강민경 2015.03.26 356
949 복숭아꽃/정용진 정용진 2015.03.24 241
948 바람의 필법/강민경 강민경 2015.03.15 371
947 당신의 소신대로 강민경 2015.03.15 261
946 날 붙들어? 어쩌라고? 강민경 2015.03.15 284
945 나비의 변명 / 성백군 하늘호수 2015.03.15 264
944 초록만발/유봉희 1 오연희 2015.03.15 220
943 연가(戀歌.2/.秀峯 鄭用眞 정용진 2015.03.07 189
942 봄비.2 1 정용진 2015.03.07 163
941 낙화.2 정용진 2015.03.05 229
940 분수대에서 성백군 2015.02.25 226
939 비빔밥 2 성백군 2015.02.25 263
938 언덕 위에 두 나무 강민경 2015.01.25 299
937 슬픈 인심 성백군 2015.01.22 209
» 수필 김우영의 "세상 이야기" (1)생즉사 사즉생( 生卽死 死卽生) 김우영 2015.01.12 462
935 담쟁이에 길을 묻다 성백군 2014.12.30 306
934 12월의 결단 강민경 2014.12.16 316
933 별 하나 받았다고 강민경 2014.12.07 350
932 일상은 아름다워 성백군 2014.12.01 159
931 촛불 강민경 2014.12.01 210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15 Next
/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