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한국일보 <이 아침에 시> 2012년 2월 16일자
2012.02.20 17:58
알래스카의 봄 / 서용덕 기러기 돌아오듯 꽃대 올라서며 여린 이파리보다 꽃이 먼저라 피어나고 동풍 불러 강물을 풀어서 연어 떼 모천으로 찾아들면 기러기마저 급하게도 알을 품어댄다 어둠속 긴긴 겨울 헤맨 허기진 발걸음이 질질대던 앙상한 뼈 가죽 황소 사슴은 햇빛 앉은자리 찾아 뜯으며 얼룩덜룩 털갈이를 하고나면 시린 태양은 만년설에 빛 부셔 한 눈 팔다 갈 길 잃어 서산이 멀기만 하여라. - 서용덕(1955 - ) ‘알래스카의 봄’ 전문. 모국어로 글을 쓰고 있는 미주의 한인 작가들은 모두 한국문학의 변경에 서있는 개척자들이다. 한국에서라면 다룰 수 없는 주제와 소재를 가지고 한국문학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시키고 있다. 서용덕 시인은 한인들이 드문 알래스카에 거주하며 시를 쓴다. 만일 그가 없었더라면 겨울이 긴 알래스카에서 맞는 봄의 감격을 어떻게 느껴볼 수 있으며 봄의 태양이 만년설에 눈부셔 갈 길을 잃고 헤맨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었겠는가. *** 김동찬, 미주한국일보 <이 아침의 시> 2012년 2월 16일자. 단체메일입니다. 수신을 원하지 않는 분은 수고스럽더라도 간단한 답글을 주시면 발송명단에서 즉각 제외하겠습니다. 지난 글은 blog.naver.com/soloktc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1 |
10만 방문자 돌파 기념
![]() | 서용덕 | 2014.09.23 | 246 |
60 |
Griffith Observatory Park에서
![]() | 서용덕 | 2013.06.12 | 357 |
59 |
또 다른 모습
![]() | 서용덕 | 2013.06.12 | 267 |
58 |
생각하는 의미지
![]() | 서용덕 | 2013.06.12 | 275 |
57 |
心마음 가르킨 생각 제5시집
![]() | 서용덕 | 2013.06.12 | 320 |
56 |
이길원 이사장과 함께
![]() | 지산 | 2012.12.02 | 415 |
55 |
수필토방 참석 및 수강
![]() | 지산 | 2012.11.24 | 396 |
54 |
수필토방 참석 및 강의
![]() | 지산 | 2012.11.24 | 329 |
53 |
작가의 집에서
![]() | 서용덕 | 2012.05.31 | 465 |
» |
미주 한국일보 <이 아침에 시> 2012년 2월 16일자
![]() | 서용덕 | 2012.02.20 | 487 |
51 |
방문하여 주신 5만 애독자님께
![]() | 서용덕 | 2011.12.21 | 389 |
50 |
웃는 해바라기
![]() | 서용덕 | 2011.09.29 | 441 |
49 |
홍문표 시인(평론가)님과 함께
![]() | 서용덕 | 2011.09.12 | 550 |
48 |
박범신 소설가님과 함께
![]() | 서용덕 | 2011.09.12 | 665 |
47 |
경복궁 야경
![]() | 서용덕 | 2011.05.20 | 696 |
46 |
아향 설렁탕
![]() | 서용덕 | 2011.05.18 | 984 |
45 |
김삿갓
![]() | 서용덕 | 2011.04.16 | 993 |
44 |
오래된 나
![]() | 서용덕 | 2011.04.05 | 474 |
43 |
7마일 다리
![]() | 서용덕 | 2011.02.26 | 628 |
42 |
이탄 (1940~2010) 시인님 별세 (7월29일)
![]() | 서용덕 | 2011.02.26 | 4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