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5 15:03
https://news.koreadaily.com/2024/07/24/society/opinion/20240724191449367.html
반세기 만에 트인 대화 물꼬
이희숙
메시지를 받았다. “밥솥을 사서 밥했더니 고두밥. 우리 입맛에 맞을 쌀, 월마트에서 살 수 있는 걸로 추천 바랍니다.” 익히 알고 있는 이름이지만 내면은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서다. 50년 전 나와는 대학 클래스 동기다. 서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모교 서울교육대학에서 국어과 교수로 재직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을 뿐이다.
친구 소개로 전화번호까지 주고받았지만, 우린 피차 인성이나 취향 등을 아는 게 없다. 살아온 환경과 생활 방법조차 다를 텐데. 풋풋했던 젊은 날의 애틋함이나 설렘 같은 건 없다. 어떻게 어느 선까지 대접해야 할까? 사람 교제를 좋아해 으레 손님방을 제공하고 있지만, 운전대까지 내려놓고 관광 안내도 자유롭지 못한 터. 여러 방법을 모색해 보았지만, 답을 못 찾았다.
속전속결로 취업이 보장되던 서울 교육대학에 높은 경쟁률을 뚫고 합격했다. 기쁨과 기대도 잠시, 행당동 교정에서 대학 생활에 실망했고, 초등학생 지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흥미를 잃기도 했다. 선택할 여지 없이 필수로 이수하기 위한 무리수가 따랐기 때문이리라. 그런 과정이 싫어 밖으로 관심을 돌렸다. 졸업한 후 친구들은 야간대학에 편입했고 다른 분야 취업을 위해 나름 분주하게 진출했다. 결국엔 성실하게 제자리를 찾아 교장을 비롯해 장학사, 교육장 등 초등교육계에 이바지한 동료가 많다.
줄줄이 대학 진학을 앞둔 동생들 탓에 써 놓은 원서를 제출하지 못한 채 서울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과 생활했다. 결혼 후 둘째를 출산하고 나서 방송통신대학 영문학과에 입학해 새벽을 환하게 밝히며 공부했다. 졸업장을 받지 못하고 태평양을 건너왔고, 낯선 땅에서 이곳 교과과정에 맞는 유아교육을 수료한 후 새 터전을 다져 갔다. 모국에 대해 그리운 생각조차 품을 여지없이. 코로나 팬데믹이 터진 후, 도전하며 설립 운영했던 다민족 어린이 학교를 정리했다. 이제 칠십이 넘어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다른 세계를 열어가고 있지 않은가.
그 동기는 블로그에 올린 <플로리다 마이애미비치 거리에서 여경을 만나다>라는 글을 보냈다. 이어 호기심을 불러일으킨 <아이 러브 텍사스!> 글도 단숨에 읽어 내려갔다. ‘그들은 덮쳐 왔다 … 마치 훈련병이 무서운 교관에게 기합받지 않겠다는 듯 "아이 러브 텍사스!" 엉겁결에 사랑한 텍사스를 내일 떠난다.’ 난 혼자 소리 내어 웃었다. 미대륙 횡단 자동차 여행 중 모텔 화장실에서 썼단다. 글을 읽으며 옛 친구를 재발견한 듯했다.
졸업 후 50년 만에 대학 동기를 대면했다. 이상과 현실 차이가 너무 커서 방황했던 그 시절이 가까이 다가온다. 사라진 것이 아니고 나를 만들어준 중요한 요람이었다는 걸 뒤늦게라도 깨달은 게 다행이지 않을까. 그 동기를 잘 대접하고 싶은 건 그 시절 나를 존중해주고 싶은 마음에서다.
그는 우버를 이용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우리 집을 찾았다. 탁 트인 뜰 나무 그늘에 앉아 이야깃주머니를 꺼냈다. “어떻게 모교 교수가 될 수 있었어요?” 첫 질문을 시작으로 대화는 누에고치 실 풀리듯 이어졌다. 출생부터 대학 시절을 넘어 어렵고 힘들었던 10년 간의 강사 생활, 모교에서 후배 양성의 어려웠던 점, 은퇴 후 수필 쓰기와 강의에 빠졌단다. 둘은 공통점을 찾았다. 충남 홍성이라는 성장지가 같고 수필을 쓴다는 점이다. 가로막혔던 무언가가 스르르 무너지는 듯했다. 반세기란 간격과 우려를 몰아내고 공감대를 형성한 게다. 자연스레 거실 겸 작업실로 안내했다. 서로 출판한 책들을 소개했다. 보유한 수필 강의록과 수필집도 보여 주었다. 미국 수필가 협회 활동상과 그동안 방문해 강의했던 한국 교수들도 소개했다.
그는 물 만난 고기처럼 수필 창작을 위한 열강을 쏟아냈다. 소재, 주제, 문단의 연결, 글의 구성, 제목 등. 나는 얕은 지식으로 맞장구를 쳤다, 때마침 방문한 딸을 동원해 남편과 함께 색다른 고기 요리를 접할 수 있는 식당으로 안내했다. 색다른 브라질식 고기(Ground Fire) 를 앞에 두고도 글 이야기를 계속했다.
7시간 동안 만남이었다. 그 동기는 숙소로 돌아가 오늘 있었던 이야기를 써 보내주었다. “그녀와 나는 대학 동기다. …(중략) 그녀와 나는 노는 물이 달랐다. 지금 기억으로는 2년간 둘이 대화한 적이 없다. 그녀가 특별히 관심 영역 안에 있지 않았다. 그저 이름과 안면을 익힌 채 각자 삶의 바다로 일엽편주처럼 떠돌기 반세기 만에 대화 광장에 손잡고 입장한 셈.… (중략) 그녀 소식은 우연히 알게 되었다. 미국을 여행하는 도중에 필연처럼.”이라고 묘사했다.
수필은 정직하다, 수수하지만 지루하지 않고 진정성이 있는 산문이다. 수필가라는 교집합이 우리 대화 물꼬를 트이게 했다. 글의 힘이 아닐는지. 여전히 진행형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7 | (수필) 노벨문학상 수상에 즈음하여/중앙일보 이 아침에 10.16.2024 | 이희숙 | 2024.10.16 | 59 |
26 | (시) 대추가 익어가요 | 이희숙 | 2024.09.19 | 48 |
25 | (수필) 사막에 내린 비 (여름 문학캠프 후기) | 이희숙 | 2024.08.31 | 91 |
24 | (수필, 시) 흐르는 센강 / 2024. 8. 13. 중앙일보 이 아침에 | 이희숙 | 2024.08.13 | 16 |
» | (수필) 반세기 만에 트인 대화 물꼬 /중앙일보 이 아침에 7.25.2024 | 이희숙 | 2024.07.25 | 87 |
22 | (수필) 잡초 / 중앙일보 이 아침에 2024. 6.5. | 이희숙 | 2024.06.06 | 55 |
21 | (시) 푸른 별 숨소리 | 이희숙 | 2024.04.23 | 213 |
20 | (시) 나의 침묵 | 이희숙 | 2024.04.23 | 86 |
19 | (시) 십자가의 숲 | 미주 | 2024.03.25 | 103 |
18 | (시) 살아있는 소리 | 미주 | 2024.02.27 | 504 |
17 | (수필) 칠순에 졸업장을 받다 (중앙일보 이 아침에/2.23.2024) | 이희숙 | 2024.02.23 | 125 |
16 | (시 - 목각) 부겐빌레아 꽃그늘 | 이희숙 | 2024.02.22 | 99 |
15 | (시 - 목각) 2월에 | 이희숙 | 2024.02.22 | 99 |
14 | (시) 봄꽃 나들이 | 이희숙 | 2024.02.13 | 140 |
13 | (디카시) 그루터기 | 이희숙 | 2024.02.13 | 106 |
12 | (디카시) 파도 위를 나는 새 | 이희숙 | 2024.02.09 | 161 |
11 | (수필) 7월에 만난 인디언 어린이 (중앙일보 2023.7.14.) | 이희숙 | 2024.02.09 | 98 |
10 | (동시) 코알라의 꿈 | 이희숙 | 2024.02.08 | 118 |
9 | (동시) 우리 설날은 | 이희숙 | 2024.02.08 | 88 |
8 | (수필) 뭉초가 펼친 미래를 향한 꿈 (2024.2.6 중앙일보 이 아침에) | 미주 | 2024.02.06 | 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