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세의 앙드레 고르는 자다가 깨어나 82세의 아내에게 이렇게 속삭였다. "당신은 곧 여든두 살이 됩니다. 키는 예전보다 6㎝ 줄었고, 몸무게는 겨우 45㎏입니다. 그래도 당신은 여전히 탐스럽고 우아하고 아름답습니다. 함께 살아온 지 쉰여덟 해가 되었지만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지난 9월 한 프랑스 철학자와 그의 아내가 동반자살한 시신으로 발견된다. 두 사람이 누운 침대 곁에는 "화장한 재를 둘이 함께 가꾼 집 마당에 뿌려달라" 는 편지가 남아 있었다. 프랑스 철학자의 이름은 앙드레 고르. 사르트르가 "유럽에서 가장 날카로운 지성"이라고 평가한 신마르크스주의 사상가이자 녹색정치의 창시자였다. 둘의 자살소식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인의 심금을 울렸다. 고르는 1983년 아내 도린이 척추수술 후유증으로 거미막염이라는 불치병에 걸리자 모든 사회활동을 접고 간병에만 매달린다. 고르는 아내의 죽음이 가까워오자 그들의 사랑을 글로 남기기 시작한다. 그 결과물인 'D에게 보내는 편지-어느 사랑의 역사'(학고재 펴냄)가 국내에 출간됐다. 책은 어느 부분을 읽어도 가슴이 찡하다. 고르는 글을 써야 하는 심정을 이렇게 밝혔다. "우리가 함께 한 역사를 돌이켜보면서, 나는 많이 울었습니다. 나는 죽기 전에 이 일을 해야만 했어요. 우리 두 사람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우리의 관계였기 때문입니다. 나는 이 글을 대중들을 위해서 쓰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아내만은 위해 이 글을 썼습니다." 여든세 살의 철학자가 여든두 살의 아내에게 바친 편지는 그들의 동반 자살 이후 프랑스와 독일에서 최고 베스트셀러가 됐다. 책에 드러나는 한 지성의 아내에 대한 사랑은 눈물겹다. "당신은 라 졸라의 드넓은 해변에서 바닷물에 두 발을 담근 채 걷고 있습니다. 당신은 쉰 두살입니다. 당신은 참 아름답습니다." 책의 마지막에는 그가 아내와 함께 죽을 것을 결심한 듯한 귀절이 있어 가슴을 아프게 한다. “밤이 되면 가끔 텅 빈 길에서, 황량한 풍경 속에서, 관을 따라 걷고 있는 한 남자의 실루엣을 봅니다. 내가 그 남자입니다. 관 속에 누워 떠나는 것은 당신입니다. 당신을 화장하는 곳에 나는 가고 싶지 않습니다. 당신의 재가 든 납골함을 받아들지 않을 겁니다. 캐슬린 페리어의 노랫소리가 들려옵니다. ‘세상은 텅 비었고 나는 더 살지 않으려네.’ 그러나 나는 잠에서 깨어납니다. 당신의 숨소리를 살피고, 손으로 당신을 쓰다듬어봅니다. 우리는 둘 다, 한 사람이 죽고 나서 혼자 남아 살아가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이런 말을 했지요. 혹시라도 다음 생이 있다면, 그때도 둘이 함께하자고.” "젊은 날의 앙드레 고르 & 도린 케어" 자기 품에 안긴 그녀의 희고 매끄럽고 따뜻한 몸을 그는 오래도록 바라봤다. 말 없이, 숨을 멈추고, 찬탄에 차서. 이곳은 1947년의 스위스 로잔.돈도 없고 나라도 없는 오스트리아 출신 유대인 앙드레 고르(Andr? Gorz·1923~2007)의 인생에 영국 여자 도린 케어(Doreen Keir·1924~2007)가 총총히 뛰어들었다. 남루한 셋방에서 처음으로 동침한 뒤 지난 9월 프랑스 시골마을에서 동반자살 하기 전까지, 꼭 60년간 그들은 한 쌍의 밤꾀꼬리처럼 정답게 살았다. 이 책은 84세의 남편이 스무 해 넘게 불치병과 싸운 83세의 아내에게 보낸 연애 편지다. 고르는 유럽의 대표적인 언론인이자 철학자다. 렉스프레스지(紙) 기자를 거쳐 누벨 옵세르바퇴르지(誌)를 공동 창간했고, 스승이자 친구였던 장 폴 사르트르가 별세한 뒤 그가 창간한 레탕모데른지(誌)를 이어받았으며, ‘생태주의’를 창시했다. 그는 비엔나에서 유대인 목재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2차대전이 터지자 부친은 스위스를 여행하던 아들에게 갠뭬틸읒?말라”고 명했다. 16세에 망명객이 된 고르는 로잔 대학에 다녔다. 전공은 화학공학이었지만 그를 사로잡은 것은 실존주의였다. 뿌리 잃은 자의 고독과 살아 남은 자의 환멸이 그를 짓눌렀다. 사랑이 그를 구했다. 발랄한 도린을 처음 봤을 때 그는 “감히 넘볼 수 없는 여자”라고 생각했다. 청년들은 도린에게 귀엣말했다. “홀린 듯 당신을 보는 저 남자(고르)는 무일푼의 유대인”이라고. 그러나 그녀가 사랑하게 될 남자는 그들이 아닌 그였다. 둘을 이어준 것은 외로움이었다. 도린은 일찍 부친을 잃었다. 모친은 그녀를 대부(代父)에게 맡기고 가출했으며, 간간이 딸을 보러 올 때마다 돈 때문에 대부와 다퉜다. 전쟁 통에 도린은 배급 식량을 고양이와 나눠 먹으며 혼자 살았고, 종전 후엔 유럽을 방랑했다 로잔에서 고르와 만났다. 책에서 고르는 기억을 복기하며 생의 매 순간을 다시 살았다. “당신을 사랑하는 나 자신을 사랑하지 않았던” 젊은 날의 오만을 사죄하고, “당신은 내게 삶의 풍부함을 알게 해 주었다”고 감사했다. 1974년 도린이 근육 위축병에 걸리자 고르는 신문사를 은퇴하고 그녀와 함께 은거했다. 그는 친구에게 이런 편지를 남겼다. “아무리 생각해도 내게 본질적인 단 하나의 일은 그녀와 함께 있는 것일세.” 고르는 “우리는 둘 다 한 사람이 죽고 나서 혼자 남아 살아가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고백을 맺었다. 1년 뒤인 올해 9월 22일, 부부는 소도시 보농에서 극약을 주사해 함께 목숨을 끊었다. 시신은 이틀 뒤 발견됐다. 유언에 따라 지인들이 재를 부부가 말년을 보낸 집 뜰에 뿌렸다. Morir De Amor(죽도록 사랑해서)...Franck Pourcel Orch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가지 않은 길 성민희 2008.04.21 208
73 살아가는 일도 사랑하는일 만큼이나 오연희 2008.03.21 324
72 봄.봄봄. file 달샘언니 2008.03.18 233
71 섬진 윗마을의 매화 ( 법정 스님) 성민희 2008.03.11 422
» 첫날 밤 후....60년, 세상은 텅 비었고, 나는 더 살지 않으려네 성민희 2008.03.08 253
69 선생님 생신축하드려요.... 임대진 2008.03.06 421
68 이송희 인적사항 file 달샘 2008.03.04 211
67 움트는 테디의 사랑, 이 봄엔... file 성님 2008.02.19 229
66 설은 잘보내셨는지요? 천종철 2008.02.15 202
65 Happy Valentine's Day 성민희 2008.02.13 233
64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임대진 2008.02.10 275
63 Daughter, You are the Greatest Gift !!! angel 2008.02.01 161
62 여독도 풀리시기 전에 윤석훈 2008.01.05 195
61 찰싹 붙는 찰떡 성님 2008.01.03 223
60 보고싶은 선생님께.... 천종철 2008.01.13 214
59 태평양 건너 그곳서 제 목소리 들리셨나요? angel 2008.01.17 211
58 새해 첫 날입니다. 성영라 2008.01.01 171
57 선생님 잘 도착하셨는지요? 정연태 2007.12.30 286
56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서용덕 2007.12.29 155
55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장태숙 2007.12.28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