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득호도(難得糊塗)

2017.09.29 01:18

김학천 조회 수:152

  동양에서는 겸양을 미덕이자 삶의 지혜로 삼아왔다. 해서 다소 어수룩해 보이는 모습은 손해가 아니라 오히려 진정성을 보이는 역설적 가르침이었다. 하지만 요새는 이와는 다르게 잘나게 보이려고 애쓰는 성향이 짙다. 

 한데 사실 잘났다고 하는 사람일수록 어딘가 근심걱정은 더 많아 보인다. 남보다 무언가 한 발 먼저 앞서 가려니 늘 긴장해야 하기 때문일 텐데 그러다 보면 과욕에 얽매기도 십상이다. 반면에 좀 어수룩하게 보이는 사람은 바보 같긴 해도 어딘가 더 편안해 보인다. 무심함에서 오는 결과 때문일까?

  어수룩하다거나 바보 같다는 얘기를 꺼내는 것은 근자에 중국이 늘어놓은 망발 때문이다. 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한국인은 김치를 먹어서 멍청해 진 것인가?’ 라며 쏟아낸 저급한 악담 말이다. 방자하기 이를 데 없다.  

  바보 멍청이라는 말을 중국에선 호도(糊塗)라 한다. 중국 청나라 때 화가로서 뿐만 아니라 서예가, 문학가로서 이름을 날렸던 정섭(鄭燮)이 관리로 근무할 때 사촌으로부터 편지 한 통을 받았다. 내용인 즉, 이웃집과 담장 문제로 재판이 진행되고 있으니 담당관리에게 잘 부탁해 도와 달라’는 거였다.

  이에 정섭은‘담장을 몇 자 양보하는 게 어떤가?’라는 답장과 함께 ‘난득호도(難得糊塗)’라는 편액(扁額)을 보냈다. 그러면서‘총명하기도 어렵지만 어리석게 보이는 것도 어렵다. 더욱이 총명함을 잃지 않은 채 어리석게 보이기는 더욱 어렵다’라고 했다.  

  이로부터 이 네 글자는 자기를 낮추고 남에게 모자란 듯 보이는 것이 결국에는 현명한 처세가 된다는 중국인의 오래된 격언이 되었다. 잘난 체하고 아는 체를 일삼다가는 다른 이의 미움을 사서 고난을 겪기 십상이었던 험한 시대를 거치면서 얻어낸 지혜일 게다.

  더욱이 중국은 아편 전쟁으로 청나라가 몰락한 후 오랜 세월 절치부심 속에 살아오면서‘빛을 드러내지 말고 은밀히 힘을 기르라’는‘도광양회(韜光養晦)’ 를 마음 깊이 품고 힘을 길러왔다. 이 말 뒤에는‘난득호도’의 지혜가 있었음이라.  

  그랬던 중국이 이제는 노골적으로 속내를 드러내고 치졸함을 보이고 있다. 이웃국가를 윽박지르고 그 국민이 멍청하단다. 정말 그럴까? 그들이 한 가지 간과한 것이 있다. 멍청한 척하는 것도 초탈한 마음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사실. 이는 바보인척 보여도 큰일에서는 멍청이처럼 일을 처리하지 않는다는 ‘대사불호도(大事不糊塗)’를 잘 알고 있다는 걸 말이다.

  고(故) 김수환 추기경은 자신을 스스로 바보라 불렀다. “모두 안다고 나대고, 대접받길 바라는 데 내가 제일 바보같이 산 것 같다”고 스스럼없이 말했다. 북송 때 소동파도‘용맹한 사람은 겁쟁이처럼 보이는 만면 지혜로운 사람은 어리석어 보인다.’고 하지 않았던가!

  그러고 보면 중국은 총명하지도 어수룩하지도 그렇다고 멍청한 척도 할 줄 모르는 하수(下手)임을 스스로 드러낸 셈이 됐다. 부디 스스로 멍청해 지길.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
어제:
0
전체:
53,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