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혼 (招魂)- 김소월 -

2009.07.10 06:59

박영숙 조회 수:747 추천:115

초    혼 (招魂)-  김소월  -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虛空)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진달래꽃>(1924)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전통적, 민요적, 격정적, 애상적, 여성적

◆ 표현 : 3음보의 민요적 율격

             심리적 추이에 따른 시상 전개(충격과 슬픔 → 허무와 좌절 → 미련과 안타까움)

             반복과 영탄을 적절히 배합하여 시적 정서를 생생히 표현함

             강렬한 어조와 감정의 직접적 표출

◆ 중요 시어 및 시구풀이

    * 1연 → 임의 부재(죽음) 상황을 제시함.

                영탄적 어조로 '이름이여'를 반복함으로써, 죽음에의 절규가 나타남.

    * 붉은 해는 서산마루에 걸리었다 → 허무적 배경. '죽음'의 심상

    *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 슬픔을 비장미로 승화시킴.

    * 하늘과 땅 사이 → 임과의 절망적인 거리감

    *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 망부석 = 영원한 사랑의 상징물

              시적 자아의 확고한 결의 표명(임의 죽음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의지와 임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이 담김.)

◆ 주제 ⇒ 죽은 임에 대한 그리움과 절규

             임을 잃은 처절한 슬픔

◆ 제목 : 전통적 상례의 한 절차인 '고복의식'을 가리키는 말

    ※ 고복의식(皐復儀式)

         '招魂'이라 불리는 이 의식은 사람의 죽음이 곧 혼의 떠남이라는 믿음에 근거하여 이미 떠난 혼을 불러들여 죽은 사람을 다시 살려내려는 간절한 소망이 의례화된 것으로서, 사람이 죽은 직후에 그 사람이 생시에 입던 저고리를 왼손에 들고 지붕이나 마당에서 북쪽을 향해 죽은 사람의 이름을 세 번 부르는 행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즉, 초혼은 죽은 사람을 재생시키려는 의지를 표현한 일종의 '부름의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육신없는 이름을 부르는 슬픔

◆ 2연 : 사랑을 고백하지 못한 안타까움

◆ 3연 : 충격적 슬픔의 확산 및 처절한 허무감

◆ 4연 : 이어질 수 없는 절망적 거리감

◆ 5연 : 임을 향한 슬픈 사랑(슬픔의 응집-망부석)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죽은 사람의 혼을 불러들여 다시 살려 내려는 의식이 고복의식, 곧 초혼이다. 이 시에 나타난 이별은 뜻밖의 죽음이 가져다 준 운명적 결별이다. 더욱이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마지막 말 한 마디조차 전하지 못한 이별이기에 시적 자아는 그 이름을 부르다가 삶을 다하는 것이 임을 잃은 자로서의 속죄의식인 셈이다. 그러기에 해가 지도록 산마루에 올라 임을 부른다. 그러나 임의 혼이 올라간 천상의 세계와 현실과는 너무나 넓고도 아득하여 살아 있는 자로서도 도저히 죽은 임과의 만남이 불가능함을 깨닫는다. 이러한 설움은 마지막 연에서 '돌'로 응축된다. 돌(망부석)은 생자와 망자의 양면성으로 현실로는 살아있지만 죽음과 같은 삶을 영위함으로써 마음만은 죽은 임의 곁에 있다는, 현실 부정과 초월의지의 형상물이라 여겨진다. 이제 임을 부르다 부르다 시름에 지친 시적 자아는 영원한 '도의 몸짓으로 임을 기다릴 수밖에 없으리라.

<초혼>은 소월의 다른 시 <옛 임을 따라 가다가 꿈 깨어 탄식함이라>를 원형으로 하고 있다. 부모의 강요로 마음에도 없는 시집을 갔다가 시어미의 시샘으로 죽은 여인의 이야기인 이 시에서의 여인의 비극적 운명과 서정적 자아의 애상은 <초혼>에서의 임의 상실과 그 임을 부르는 행위로 연결된다. 소월의 시에서 "임"은 국가를 상실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임은 잃어 버린 조국이며, 임을 부르는 행위는 상실된 조국을 찾으려는 염원과 이상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임을 부르는 애절한 통곡의 목소리는 일제에 대한 항거의 소리이며, '선 채로 돌이 되어도' 끝끝내 버릴 수 없는 민족애의 열정과 의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생각해 볼 거리]

1. 우리의 전통적 장례 의식의 한 절차인 초혼(招魂) 또는 고복의식(皐復儀式)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시오.

→ 전통적인 상례의 한 절차인 초혼(고복의식)은, 죽음이 혼의 떠남이라는 믿음에 근거하여, 이미 떠난 혼을 불러들여 죽은 사람을 다시 살려 내 보려는 간절한 소망이 의례화된 것이다. 임종 직후에 북쪽을 향해서 망자(亡者)의 이름을 세 번 부르는 행위가 중심을 이룬다.

2. 제3연의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는 구절이 내포하는 시적 의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님을 상실한 주체는 '나' 개인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이다. 따라서 이 구절은 님 상실의 충격이 '나'를 거쳐 '세계'로까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시적 자아와 님(세계)과의 단절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구절을 찾아 쓰시오.

→ 제4연의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4. 이 시의 마지막 연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태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자아와 세계와의 단절이 비록 너무 극명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러나 이것을 결코 인정할 수 없다는 결연한 태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 모음' 박영숙영 2020.01.10 84
공지 님들께 감사합니다 박영숙영 2014.02.14 190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13.02.22 246
73 [스크랩]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류시화 박영숙영 2010.11.30 293
72 우리가 어느 별에서 /정호승 박영숙영 2010.11.30 498
71 호 수 /정지용 박영숙영 2010.11.30 402
70 사랑은/김남주 박영숙영 2010.11.30 271
69 가을 오후 / 도종환 박영숙영 2010.11.11 304
68 서릿발/ 최삼용(바브) 박영숙영 2011.02.07 631
67 [스크랩]ㅡ불밥/김종제 박영숙영 2011.01.30 386
66 꽃잎/도종환 박영숙영 2010.09.24 323
65 저무는 꽃잎/도종환 박영숙영 2010.09.24 283
64 어떤 생일 축하/법정 박영숙 2010.08.31 509
63 편지 / 김 남조 박영숙 2010.07.01 333
62 Duskㅡ황혼 박영숙영 2012.08.22 300
61 석류의 말/ 이해인 박영숙 2010.02.25 439
60 {스크랩}봄비 같은 겨울비 박영숙 2010.02.17 432
59 동지 팥죽의 유래 박영숙 2009.12.23 779
58 어머니의 손맛 박영숙 2009.12.23 532
57 직지사역/ 박해수 박영숙 2009.12.16 576
56 [스크랩/인생은 자전거타기 박영숙 2009.12.09 444
55 [스크립]이기는 사람과 지는 사람 박영숙 2009.12.09 437
54 길 잃은 날의 지혜/박노혜 박영숙 2009.11.18 773
53 도 종 환/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할 표현들 박영숙 2009.11.13 413
52 용서 / U.샤펴 지음 박영숙 2010.06.09 356
51 낙 엽 송/황 동 규 박영숙 2009.11.03 527
50 나뭇잎 하나가/ 안도현 박영숙 2009.11.03 437
49 가을에게 박영숙 2009.11.03 395
48 [스크랩]인생의 그리운 벗 박영숙 2009.11.13 427
47 [스크랩] 우정/이은심 박영숙 2009.11.13 397
46 울긋불긋 단풍을 꿈꾸다 박영규 2009.10.25 695
45 박노해/ "나 거기 서 있다" 박영숙 2009.11.13 609
44 [스크랩] 안부 박영숙 2009.11.13 445
43 [스크랩}살아 있는 것은 흔들리면서 박영숙 2009.09.28 345
42 [스크랩]삶속에 빈 공간을 만들어 놓아라 박영숙 2009.09.28 481
41 [ 스크랩]가끔은 애인같은 친구 박영숙 2009.08.27 356
40 시와 언어와 민중 의식 (한국문학(韓國文學) 소사 에서) 박영숙 2009.08.20 483
39 새벽 /설램과 희망을 줍는 기다림 박영숙 2009.08.13 608
38 그 날이 오면 - 심 훈 - 박영숙 2009.07.10 546
37 봄은 간다- 김 억 - 박영숙 2009.07.10 597
» 초 혼 (招魂)- 김소월 - 박영숙 2009.07.10 747
35 청 산 도(靑山道)- 박두진 - 박영숙 2009.07.10 456
34 들길에 서서 - 신석정 박영숙 2009.07.10 857
33 나의 침실로 - 이상화 - 박영숙 2009.07.10 587
32 가난한 사랑 노래-신경림- 박영숙 2009.07.10 750
31 가을비/- 도종환 - 박영숙 2009.07.10 516
30 스크랩] 어느 봄날의 기억 박영숙 2009.04.23 451
29 어느 95세 어른의 수기 / 펌글 박영숙 2009.03.11 368
28 광야/이육사 박영숙 2009.01.14 436
27 산정묘지/조정권 박영숙 2009.01.14 473
26 잘익은사과/김혜순 박영숙 2009.01.14 532
25 산문(山門)에 기대어/송수권 박영숙 2009.01.14 612
24 푸른곰팡이 산책시 /이문재 박영숙 2009.01.14 514
23 귀천/천상병 박영숙 2009.01.14 417
22 겨울바다/김남조 박영숙 2009.01.14 652
21 님의친묵/한용운 박영숙 2009.01.14 712
20 별들은 따뜻하다 / 정호승 박영숙 2009.01.14 406
19 우리가 물이 되어/강은교 박영숙 2009.01.14 569
18 목마와 숙녀/박인환 박영숙 2009.01.14 356
17 한계령을 위한 연가/ 문정희 박영숙 2009.01.14 334
16 빈집/기형도 박영숙 2009.01.14 410
15 저녁눈 /박 용 래 박영숙 2009.01.14 336
14 대설주의보/최승호 박영숙 2009.01.14 517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63
어제:
89
전체:
885,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