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윤후명의 거제ㆍ지심도 사랑

2009.08.06 09:19

안경라 조회 수:359

소설가 윤후명의 거제ㆍ지심도 사랑 전시회 개최, 문학그림집 출간 = 소설가 윤후명(63)씨에게 경남 거제도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그는 1983년 여름 거제 향토기업의 초대로 3개월간 거제에 체류하면서 소설을 썼다. 집필 환경에서 영향을 받은 정서가 소설 속에 스며들었음은 물론이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이 '팔색조-새의 초상'이다. 나중에 드라마로 옮겨져 MBC '베스트셀러 극장'에서 방영돼 더욱 인기를 얻은 이 작품은 지명을 직접적으로 밝히지 않고도 거제 포구와 동백꽃이 주는 토속적인 느낌을 담았다. 등단 42년을 맞은 윤씨는 문학단체 문학사랑(이사장 김주영)과 거제문화예술재단(이사장 김한겸 거제시장)이 마련한 전시회와 문학그림집, 문학기행을 통해 거제도와 거제 지심도를 다시 찾아 떠난다. '지심도 사랑을 품다'(교보문고 펴냄)는 거제 본섬과 지심도를 모티브로 탄생한 소설과 시, 동화, 에세이, 그림을 섞은 책이다. 윤씨에게 거제의 상징이 '팔색조'와 '엉겅퀴꽃'인 까닭에 이 책에 실린 작품들도 팔색조와 엉겅퀴를 다룬다. '팔색조-새의 초상'은 물론 팔색조를 찾아 떠나는 남자에 관한 소설이고, 윤씨가 직접 그려 책에 실린 그림도 엉겅퀴꽃이나 팔색조를 그린 것이다. 올 3월 작고한 서양화가 김점선씨의 요청으로 썼다가 김씨의 별세로 이번 책에 실리게 된 동화 '세상에서 제일 예쁜 꽃'도 엉겅퀴꽃을 다루고 있다. 책 출간과 함께 전시회 '사랑이 이루어지는 섬, 지심도' 전(展)이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거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민정기ㆍ이인ㆍ최석운ㆍ한생곤씨 등 국내 화가 16명이 거제도와 윤씨 소설을 바탕으로 그린 작품 40여 점이 윤씨의 그림과 함께 전시된다. 또한, 18일에는 윤씨와 정호승ㆍ문정희ㆍ이채형ㆍ황충상씨 등 문인들이 독자들과 함께 작품 속 배경이 된 거제 포로수용소, 거제조선소, 지심도, 거제문화예술회관을 둘러보는 문학 기행에 나선다. 2009.7. 연합뉴스 <<소설가 윤후명>> 소설속에서 잃어버린 내 꿈★이 이루어진다 마라토너가 달리는 걸 보면 가슴이 뛴다. 한때 나는 마라토너의 삶을 꿈꾸었다. 중학교 때는 방과후에 홀로 남아 운동장을 돌았고, 고등학교 때는 학교인 서울역 근처에서 노량진 장승백이까지 뛰어 돌아오기도 했다. 그런 내가 이렇듯 ‘토굴’ 속에 들어앉게 된 게 언제부터인지 모른다. 그래서일까, 나는 ‘새다리’인 내 다리를 안쓰럽게 내려다본다. 문학을 한다고 나는 많은 것을 잃어버렸다. 식물학자가 되고 싶은 꿈도 있었고, 역사학자가 되고 싶은 꿈도, 철학자가 되고 싶은 꿈도 있었다. 그러나 문학이 괴물처럼 다가와 버티고 있었다. 도대체 문학이 무엇이건대 내 꿈뿐만 아니라 나를 키워준 아버지의 꿈, 법조인을 만들고 싶어한 꿈도 앗아갔을까. 이런 것을 운명이라고 하는 걸까. 하지만 분명히 아닐 것이다. 문학을 한다고 나는 그것들을 잃어버리지는 않았을 것이다. 나는 지금도 식물과 함께 있고자 애쓰며, 가야 역사를 되풀이 음미하며, 플라톤과 장자를 머리맡에 두고 있다. 그것들을 내 문학 속에 어떻게 녹여 넣을지 골몰한다. 그러니까 나는 잃어버린 게 아니라 문학 속에 아우른다고 해야 하겠다. 나는 문학을 통해서 그것들을 얻는 길을 택하고 있다고 해야 하겠다. 고등학교 때 내가 처음 택한 특별활동은 문예반이 아니라 원예반이었다. 그리고 싫증을 잘 내는 내가 도무지 싫증내지 않고 지금까지 가장 꾸준히 한 일이 있다면 그것은 여러 가지 풀과 나무들을 사귀는 것이었다. 흔한 것, 안 흔한 것, 이를테면 이름부터 미나리아재비같이 잘 알려진 것에서 참배암차즈기나 놋젓가락나물같이 잘 안 알려진 것까지…그리고 관찰하고 기록한다. 그리하여 어느덧 소설에서 묘사 부분에 식물을 갖다놓는 게 버릇이 되었다. 그건 바라던 바이기도 했다. 이때 나는 식물학자가 되는 게 아니고 무엇이랴. 비록 우장춘이나 현신규 같은 육종학자는 못 되더라도, 나름대로. 새삼스러운 말이지만, 식물은 위대하다고 나는 강조한다. 그것은 우리의 삶의 원초적인 뿌리에 닿아 있다. 그것은 일차적으로는 내게 구휼(救恤)과 구제의 빛이며, 이차적으로는 아름다움의 상징이다. 아니, 무엇보다도 먼저인 것은 신목(神木)으로 표징되듯이 기도드리는 대상으로서의 식물이다. 내 고향 땅 대관령의 산신제에서 한 줄기 물푸레나무는 어떻게 몸을 떨어서 신을, 하늘을 맞이하는가. 이토록 영검스럽고 아름다운 식물들이 문화가 되어 함께 숨쉬는 이 나라에 태어난 것을 감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그 어떤 ‘거대담론’보다 거대담론이다. 자연, 이른바 환경 앞에 누가 비루한 기치창검을 치켜들고 있는가. 그런데도 우리 문학은 여기에 눈을 돌리는 데 인색하다. 삶의 뿌리를 사랑하는 문학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음에 역사학자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내게 ‘역사란 무엇인가?’ 하는 식으로 묻지는 말기 바란다. 생각하기로, 역사는 진보하는 것도, 반복되는 것도 아닐 듯한데, 이에 관해서는 여기서 말할 계제가 아니다. 다만 나는 소박한 사실들에 눈길이 쏠려서, 특히 가야국을 중심으로 돌아보기를 게을리하지 않는다. 여기에 먼저 ‘삼국유사’라는 책이 놓인다. 아아, 아름답고 신비한 책이여. 그걸 쓴 스님이여. 얼마 전에 경북 군위에 있는 인각사라는 절에 다녀온 것도 그래서였다. 그곳은 고려 충렬왕 때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쓴 곳이었다. 지금 그 절이 예전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곤 해도, 나는 ‘삼국유사’ 속에 깃들어 있는 정신의 향기를 느끼려고 코를 흠흠거렸다. 30년도 더 지난 날에 우연히 이 책을 집어든 나는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이 책은 삼국시대에 있었던 일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더 예전, 우리의 시조 단군임금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의 건국 이야기와 옛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깊은 눈물겨움으로 담겨 있다. 그리고 말할 수 없는 울림을 주는 향가! 이 책에 따르면, 가야국의 왕인 수로는 ‘구지가(龜旨歌)’라는 이상한 노래 속에서 하늘에서 내려온다. 무슨 뜻일까. 이어서 ‘여뀌 잎사귀같이 좁은 땅’을 수도로 정한다. 무슨 뜻일까. 그리고 인도에서 왔다는 허왕후를 맞아들인다. 무슨 뜻일까. 그는 임금인 데도 그녀를 왕후로 맞기까지 왜 4년 동안이나 홀로 살았을까. 그때가 서기 48년. 그녀는 분명히 불교를 가지고 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건만 왜 우리 나라에 불교가 들어온 것은 훨씬 뒤인 고구려 소수림왕 때로 못박히는가. 그녀의 아들들이 들어간 지리산 칠불사의 이야기는? 함께 온 삼촌의 이름이 지금도 김해에 장유면으로 이름을 남기고 있는 까닭은? 무엇보다도 ‘가야’ 혹은 ‘가라’의 뜻은? 많은 의문들이 소설 속에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우리의 핏속을 흐르는 옛 사람의 정신이 또한 나의 주제가 되는 길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나는 우리 삶의 원천, 원류로 다가가려고 노력한다. 사막의 어떤 풀은 물을 찾아 뿌리를 몇 ㎞나 벋어 나간다는 것이다. 그 뿌리를 기억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나는, 그것이 비록 혁명과 같이 엄청난 사건이라고 하더라도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는 근본 정신을 다루려고 노력한다. 대상의 ‘마음’을 읽어야 한다. 그리하여 ‘마음의 글’을 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뿌리’로 가야 한다. 내가 20년 전에 돈황으로 간 것도 실크로드와 연결된 우리의 뿌리를 찾아간 것이었다. 우리 소설의 무대가 좁다고 무작정 엉뚱한 바깥 세상으로 가는 ‘여행담’이 아니다. 우리의 아픈 이야기, 깊은 이야기가 얽혀 있는 곳, 그곳에서 우리와 나를 접합시키는 작업이어야 한다. 나는 사막에서 물을 찾아 몇 ㎞를 벋어 나가는 뿌리를 알려고 러시아로, 혹은 다른 나라로도 가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이쯤해서 철학을 등장시켜도 좋을 듯하다. 무슨 거창한 철학은 결코 아니다. 단순히 ‘나’에 대한 몇 마디 말에 지나지 않는다. 예컨대 ‘유아독존(唯我獨尊)’이라는 말을 끌어다 쓰면 어떨까. 아무려나 소설가가 되고 나서 우리에게 참으로 부족한 게 ‘나’ 의식이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요즘과는 달리 3인칭 소설이 주류였던 시절이었다. ‘나’를 써서 확립하지 않으면 안 되리라. 여기에는 데카르트의 ‘코기토 에르고 숨(Cogito Ergo Sum)'이 중요한 촉매가 되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나’는 ‘자아’이다. 자아를 확립하지 않으면 세상을 인식할 수 없다. 오늘날 소설이 어차피 서양의 방법론을 가져온 것이라면, 근대 정신도 가져와야 한다. 그 지름길이 ‘나’를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를 사인(私人) 윤후명으로만 읽어서는 곤란하다. ‘나’는 세계를, 우주를 인식하는 깨달음의 주체로서의 ‘나’일 뿐이다. 그렇다면 소설이란 무엇인가. 소설이란 ‘소설이란 이러이러하다’는 고정 관념을 깨는 것이다. 많은 독자들이 고정 관념에 사로잡혀 수구적일 때 소설은 발전하지 못한다. 소설은 날로 새로워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이야기로서의 소설’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소설은 시대에 뒤떨어지고 말라 죽고 있다. 소설의 다양성과 아울러 ‘내적 서사’의 중요성은 어디에서 찾는단 말인가. 세계의 문이 활짝 열리고 있다고 하나, 의식은 뒤쳐져 그에 따라가기 힘겨운 모습이 소설에서도 역력하다. 나는 내 인생에서 잃어버렸다고 여겨지는 모든 것을 소설 속에서 다시 찾는다. 그러므로 소설 속에 가상 공간이 등장한다 하더라도 내게는 현실 공간이 된다. 환상이 살아나 실현되는 공간이다. 소설 속에서 내 ‘꿈★은 이루어진다.’ 오늘도 ‘새다리 마라토너’는 학교 운동장을 몇 바퀴째 홀로 달린다. 절대 고독이 밀려와 숨이 막힌다. 그러나 누가 뭐라든 내 꿈은 북극성처럼 빛나며 나를 이끈다. 내 소설을 바라보는 편견이 있다면, 나를 바라보는 오해가 있다면 그 절대 고독의 심연에서 거기에 답하리라. 누구든 잃은 것이 있게 마련이다. 문학은 내게 그것을 찾는 길이다. 그리하여 ‘나’를 찾는 길이다. 그것이 비록 ‘가장 멀리 있는 나’일지라도 이 세상 마지막까지 찾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나는 누구인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내가 추구하는 ‘사랑’의 완성은 어디에 있는가. 결정적인 해답은 아직 없다. 끝도 보이지 않는다. 언제까지든, 어디까지든 찾아가는 고행(苦行)의 길이다. 2002. 한국일보 • 1946년 강원 강릉 출생 • 196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빙하의 새' 당선 • 1969년 연세대 철학과 졸업 • 197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산역' 당선 • 시 집 '명궁' '홀로 가는 사람'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라' 소설집 '돈황의 사랑' '부활하는 새' '모든 별들은 음악 소리를 낸다' '숭이는 없다' '오늘은 내일의 젊은 날' '여우 사냥' '가장 멀리 있는 나' 장편소설 '별까지 우리가' '협궤 열차' '이별의 노래'등 • 녹원문학상(1983) 소설문학작품상(1984) 한국일보문학상(1986) 현대문학상(1984) 이상문학상(1985) 이수문학상(2001)등 수상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66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734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911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11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545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11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7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30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4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8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82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2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21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3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3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9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8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7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6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30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6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3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3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4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5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1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1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8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5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5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8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1015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3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9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6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7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4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5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2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4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9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3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1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5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11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40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0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8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8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70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8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6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3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6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9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4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8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40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3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153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7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8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1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5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4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2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601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2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5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7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2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8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6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8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2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44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3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7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4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1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623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6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9
854 세계 소리글자로 첫발을 내딛은 한글 최성철 2009.08.30 113
853 꽃의 시학(詩學) 5. (꽃은 완성이다.) (1) 정용진 2009.08.28 334
852 꽃의 시학(詩學) 4.(꽃은 아픔이다.) 정용진 2009.08.28 978
851 꽃의 시학(詩學) 3.(꽃은 희망이다.) 정용진 2009.08.28 864
850 멀지만 가까운 나라, 터키/최기춘 김학 2010.05.10 380
849 죽음의 詩學(遺詩에 대한 고찰) 정용진 2009.08.24 690
848 꽃의 시학(詩學) 2.(꽃은 사랑이다.) 정용진 2009.08.28 835
847 아, 김대중/이수홍 김학 2009.08.28 144
846 가슴이 따뜻한 분이셨습니다/정원정 김학 2009.08.27 146
845 아름답고 따뜻한 사회 만들기/오경옥 김학 2009.08.18 547
844 2009『나의농어촌이야기』수기공모전 씽굿 2009.08.17 85
843 언어 식민지 대한민국 최성철 2009.08.16 118
842 새만금 글로벌 네임 공모 씽굿 2009.08.13 48
841 애국 동포에게 드리는 글. 최성철 2009.08.10 60
840 오렌지글사랑 8월 모임 안내 정찬열 2009.08.08 101
839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수필창작과정 2009학년도 2학기 신입생 모집 김학 2009.08.07 315
» 소설가 윤후명의 거제ㆍ지심도 사랑 안경라 2009.08.06 359
837 부끄러운 자화상 김학 2009.08.03 92
836 우리가 황국(皇國) 백성인가? 최성철 2009.08.02 53
835 그리운 그 시절 김학 2009.07.31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