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숙의 문학서재




오늘:
37
어제:
18
전체:
458,304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이어령

2005.07.15 13:11

그레이스 조회 수:257 추천:39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이 어 령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하거라.

그 운(韻)은 출렁이는 파도에서 배울 것이며
그 율조(律調)의 변화는 저 썰물과 밀물의 움직임에서 본뜰 것이다.
작은 물방울의 진동(振動)이 파도가 되고
그 파도의 진동이 바다 전체의 해류(海流)가 되는
신비하고 신비한 무한의 연속성으로 한 편의 시(詩)를 완성하거라.

당신의 시(詩)는 늪처럼 썩어가는 물이 아니라,
소금기가 많은 바닷물이어야 한다.
그리고 시(詩)의 의미는 바닷물고기처럼 지느러미와
긴 꼬리를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뭍에서 사는 짐승과 나무들은 표층(表層) 위로
모든 걸 드러내 보이지만 바다에서는 그렇지가 않다.
작은 조개일망정 모래에 숨고, 해조(海藻)처럼 물고기 떼들은
심층(深層)의 바다 밑으로 유영(遊泳)한다.
이 심층 속에서만 시(詩)의 의미는 산호처럼 값비싸다.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하거라.

뜨거운 태양 아래서도 바다는 대기(大氣)처럼 쉽게 더워지지 않는다.
늘 차갑게 있거라. 빛을 받아들이되 늘 차갑게 있거라.
구름이 흐르고 갈매기가 난다 하기로, 그리고 태풍이
바다의 표면(表面)을 뒤덮어 놓는다 할지라도
해저(海底)의 고요함을 흔들 수는 없을 것이다.
그 고요 속에 닻을 내리는 연습을 하거라.
시(詩)를 쓴다는 것은 바로 닻을 던지는 일과도 같은 것이니….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하거라.

바다에는 말뚝을 박을 수도 없고, 담장을 쌓을 수도 없다.
아무 자국도 남기지 않는다. 바다처럼 텅 비어 있는
공간(空間)이야말로 당신이 만드는 시(詩)의 자리이다.
역사(歷史)까지도, 운명(運命)까지도 표지(標識)를 남길 수 없는 공간….
그러나 그 넓은 바다가, 텅 빈 바다가 아주 작은 진주(眞珠)를 키운다.
캄캄한 어둠 속에서 초승달이 자라나고 있듯이
바다에서 한 톨의 진주가 커 가고 있다.

시(詩)는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한 방울의 눈물을 티운다.
그것을 결정(結晶)시키고 성장(成長)시킨다.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 바다처럼 하거라.
바다는 무한(無限)하지는 않지만 무한한 것처럼 보이려 한다.

당신의 시(詩)는 영원(永遠)하지 않지만 영원한 것처럼 보이려 한다.
위대(偉大)한 이 착각(錯覺) 때문에 거기서 헤엄치는 사람은
늘 행복(幸福)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함 박 눈 바 위 2005.12.09 256
122 신기한 일 아 ! [1] woonk 2006.01.03 199
121 목멱산 (木覓山) 바 위 2005.10.28 302
120 가을기별 [1] file 송문헌 2005.10.22 328
119 누 가 ? 바 위 2005.10.01 247
118 사랑요 ~ woonk 2006.03.12 235
117 가을 빛 [1] 성백군 2005.09.17 323
116 그대의 찬손 슈킴 2005.07.29 361
115 그대 상사화로 피고 지고... [1] 江熙 2005.09.16 336
114 허수아비 江熙 2005.09.08 347
113 백(후원자) 성백군 2005.08.18 227
112 파란 오월도 시리더라 ! [1] woonk 2006.05.02 330
111 소 나 기 성백군 2005.08.06 257
110 날지 않는 새여 [1] 연용옥 2005.08.04 244
109 안 부 바 위 2005.07.29 243
108 농 우 [1] 볼프강 2005.07.27 344
107 낙 과 성백군 2005.07.25 271
106 그래도 만나야 할 사람 [1] 송문헌 2005.07.24 266
105 바람과 세월 woonk 2005.07.16 269
»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이어령 그레이스 2005.07.15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