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한 폭의 행복 1
2012.09.27 08:21
사진 한 폭의 행복 / 김영교
그 날 성진일사진작가가 선물로 준 커다란 액자의 사진 한 폭이 내 마음을 이토록 행복하게 해줄줄은 예상 밖이었다.들뜬 마음으로 자동차 뒤 좌석에 싣고 집으로 운반해 오면서 내내 가슴이 설레었다. 조심스레 옮겨 훼밀리룸 벽난로 위 넓은 벽에 걸었다. 하루에도 수십 번 눈길을 가져가는 지점이다.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채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온 나의 빈 벽이었다.
멕시코 선교지에 갔을 때 찍은 농촌 풍경, 지고의 평화스러움과 아름다움이 바람에 일렁이고 있다. 파아란 하늘 보자기에 하얀 뭉게구름 몇 덩어리씩 무리지어 담겨져 있다. 그 아래 일렬로 선 미류 나무의 초록 이파리들은 눈부시게 윤기가 흐르고 있다. 나무둥치 밑으로 넓게 펼쳐진 들판, 거기엔 누런 들풀들이 낮게 엎드려 한 방향으로 바람에 기대고 있다. 나름대로 제 각기 적당히 떨어져 서로 사랑의 시선을 나누는 상생의 간격으로 서있는 나무들이 무척 우호적으로 보인다. 사진은 그 들판의 나무그늘로 나를 데리고 들어간다. 어느 틈에 나도 모르게 나는 목가적 풍경에 흡수 된다.
'보이지 않는 손'이 만든 극치의 조화와 균형은 풍경 구석구석에 숨겨져 있다. 몸을 낮추니 세상에 아름답지 않는 게 하나도 없다는 사진작가의 겸손한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하다.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자연이 재발견되고 발췌되고 축소되어가는 사진예술, 그리고 축소된 자연은 또다시 확대된다. 그 아름다움을 무한대로 펼쳐 보이기도 한다. 멀리서 또는 가까이에서 보는 시선들을 감동으로 채워 생명을 전이시키는 것이었다. 비우면서 가득 채우는 작업, 그래서 사진사와 사진작가의 차이점이 바로 여기에 있지 않나 여겨졌다.
시선을 뗄 수 없이 깊이 빨려 들어가 나는 없어지고 그 풍경 속에 앉아 있는 내 모습만 있을 뿐이었다. 원상에의 회복, 그 의미를 증폭시키는 그 힘은 사진작가의 몫이었다. 소용돌이치는 그 감격과 기쁨은 생명을 물오르게 하는 감사함이 근저를 이룬다. 풍경의 한 부분이 된 나, 정작 가득 차오름을 체험한 기억은 참으로 의미있는 데라피 효과로 남아있고 지금도 진행형이다.
문득 걱정을 내려놓고 누군가를 완전히 신뢰하지 못하여 방황하던 젊은 날의 들판이 떠올랐다. 내 안의 상처들을 말끔히 아물도록 어루만져 주는 저 산들 바람! 고뇌의 들판은 사라지고 사막을 건너 온 물기 머금은 바람 앞에 나는 자꾸 작아지고 있었다. 어린아이의 온전한 의탁이 일어난 것은 바로 그 때였다. 입맛이 서서히 돌아오고 아픔이 줄어들면서 손바닥에 와서 고이는 힘에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내 골수 깊이 자생력 디엔에이가 살아나 세포와 교신하면서 함생으로 달려가는 매카니즘 체험, 참으로 경이롭게 느껴졌던 일이 어제만 같다.
오늘도 외출에서 돌아오는 나의 시선을 맨 먼저 가져가는 저 사진 한 폭, 어깨에 고인 팽팽한 긴장, 바짓가랭이에 달라붙은 피곤을 털어주려고 주인의 귀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금방 막힘이 툭 트이며 물 흐르는 소리마져 들린다. 어릴 적 고향이 가슴에 와 안긴다. 가족과 함께한 따끈한 둥근 밥상이 겹치며 세상에서 제일 행복했던 시간에 젖어든다.
그 날 성진일사진작가가 선물로 준 커다란 액자의 사진 한 폭이 내 마음을 이토록 행복하게 해줄줄은 예상 밖이었다.들뜬 마음으로 자동차 뒤 좌석에 싣고 집으로 운반해 오면서 내내 가슴이 설레었다. 조심스레 옮겨 훼밀리룸 벽난로 위 넓은 벽에 걸었다. 하루에도 수십 번 눈길을 가져가는 지점이다.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채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온 나의 빈 벽이었다.
멕시코 선교지에 갔을 때 찍은 농촌 풍경, 지고의 평화스러움과 아름다움이 바람에 일렁이고 있다. 파아란 하늘 보자기에 하얀 뭉게구름 몇 덩어리씩 무리지어 담겨져 있다. 그 아래 일렬로 선 미류 나무의 초록 이파리들은 눈부시게 윤기가 흐르고 있다. 나무둥치 밑으로 넓게 펼쳐진 들판, 거기엔 누런 들풀들이 낮게 엎드려 한 방향으로 바람에 기대고 있다. 나름대로 제 각기 적당히 떨어져 서로 사랑의 시선을 나누는 상생의 간격으로 서있는 나무들이 무척 우호적으로 보인다. 사진은 그 들판의 나무그늘로 나를 데리고 들어간다. 어느 틈에 나도 모르게 나는 목가적 풍경에 흡수 된다.
'보이지 않는 손'이 만든 극치의 조화와 균형은 풍경 구석구석에 숨겨져 있다. 몸을 낮추니 세상에 아름답지 않는 게 하나도 없다는 사진작가의 겸손한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하다.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자연이 재발견되고 발췌되고 축소되어가는 사진예술, 그리고 축소된 자연은 또다시 확대된다. 그 아름다움을 무한대로 펼쳐 보이기도 한다. 멀리서 또는 가까이에서 보는 시선들을 감동으로 채워 생명을 전이시키는 것이었다. 비우면서 가득 채우는 작업, 그래서 사진사와 사진작가의 차이점이 바로 여기에 있지 않나 여겨졌다.
시선을 뗄 수 없이 깊이 빨려 들어가 나는 없어지고 그 풍경 속에 앉아 있는 내 모습만 있을 뿐이었다. 원상에의 회복, 그 의미를 증폭시키는 그 힘은 사진작가의 몫이었다. 소용돌이치는 그 감격과 기쁨은 생명을 물오르게 하는 감사함이 근저를 이룬다. 풍경의 한 부분이 된 나, 정작 가득 차오름을 체험한 기억은 참으로 의미있는 데라피 효과로 남아있고 지금도 진행형이다.
문득 걱정을 내려놓고 누군가를 완전히 신뢰하지 못하여 방황하던 젊은 날의 들판이 떠올랐다. 내 안의 상처들을 말끔히 아물도록 어루만져 주는 저 산들 바람! 고뇌의 들판은 사라지고 사막을 건너 온 물기 머금은 바람 앞에 나는 자꾸 작아지고 있었다. 어린아이의 온전한 의탁이 일어난 것은 바로 그 때였다. 입맛이 서서히 돌아오고 아픔이 줄어들면서 손바닥에 와서 고이는 힘에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내 골수 깊이 자생력 디엔에이가 살아나 세포와 교신하면서 함생으로 달려가는 매카니즘 체험, 참으로 경이롭게 느껴졌던 일이 어제만 같다.
오늘도 외출에서 돌아오는 나의 시선을 맨 먼저 가져가는 저 사진 한 폭, 어깨에 고인 팽팽한 긴장, 바짓가랭이에 달라붙은 피곤을 털어주려고 주인의 귀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금방 막힘이 툭 트이며 물 흐르는 소리마져 들린다. 어릴 적 고향이 가슴에 와 안긴다. 가족과 함께한 따끈한 둥근 밥상이 겹치며 세상에서 제일 행복했던 시간에 젖어든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76 | 수필의 시대적 사명과 기능 /안성수 | 김영교 | 2013.02.13 | 638 |
175 | 수필 쓰기의 실제 -제목, 서두, 본론, 결말, 퇴고 | 김영교 | 2013.02.13 | 5965 |
174 | 복 많이 누리세요/김영교 | 김영교 | 2012.12.30 | 146 |
173 | 스마트 폰 이야기 / 부고필라 | 김영교 | 2012.12.19 | 319 |
172 | 창조적인 격동의 1960년 대 | 김영교 | 2012.10.21 | 1122 |
171 | 리어리즘의 유산 및 1940년대 후반 | 김영교 | 2012.10.21 | 774 |
170 | CHAPTER _ 8 리얼리즘과 실험적인 시 | 김영교 | 2012.10.21 | 714 |
169 | 미국문학사 / 20 세기 미국 연극 | 김영교 | 2012.10.21 | 1346 |
168 | Chapter 6 모도나즘과 실험 (1914-1945) | 김영교 | 2012.10.21 | 665 |
167 | Chapter 5 리얼리즘의 발생 (1860-1914) | 김영교 | 2012.10.21 | 7059 |
166 | Chapter - 4 낭만주의 시기( 1820-1860) | 김영교 | 2012.10.21 | 1113 |
165 | 미국문학사/비젼통신 | 김영교 | 2012.10.21 | 667 |
164 | 신호등 / 김영교 | 김영교 | 2012.10.14 | 159 |
163 | 시적 자아의 초월성을 중심으로/박선영 | 김영교 | 2012.10.06 | 242 |
162 | 문학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김영교 | 김영교 | 2012.10.06 | 135 |
161 | 박선영 연구자료/ 박목월 | 김영교 | 2012.10.03 | 1273 |
160 | 내일을 위한 노래 / 김영교 | 김영교 | 2012.10.01 | 141 |
159 | 그 해의 가을비 3 | 김영교 | 2012.09.30 | 171 |
158 | 낙타의 발굽 먼지 2 | 김영교 | 2012.09.28 | 1135 |
» | 사진 한 폭의 행복 1 | 김영교 | 2012.09.27 | 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