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일에 앞서 국기 교육을 하자.♣


제97주년 3·1절을 앞두고 있다. 해마다 국경일이 되면 국경일에 대한 국민의 사전교육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교육이 가정과 학교와 직장에서 이루어지지 않아 국경일은 쉬는 날로만 아는 국민이 늘어나고 있다.

 

2404BD3756D36FE2537850223ED43656D36FE523D477

 

그러므로 국경일에 앞서 교육을 하는 곳에서는 국경일 사전교육이 있어야 하고 국경일에 대한 국기교육을 사전에 하고 이어서 국경일에는 자연스럽게 국기 게양을 하게 해야 한다.

 

232BD93C56D36FBE1D1F89244CFD3656D36FD31DB07B

 

지자체와 학교는 국기에 대한 홍보자료를 제작해 배부하여 홍보해야 하며 TV 영상매체는 국경일 홍보와 국기게양 안내 방송을 해야 한다. 국기에 대한 교육의 적기는 국기를 게양해야 하는 국경일에 앞서 하는 것이다.

 

2164B03756D36FCC1AA0ED

275B203756D36FE01F16A6

 

지금 현제 세계는 국가 이름을 가진 나라가 242개국이 있으며 유엔에 가입한 국가는 193개국이며 각 나라는 그 나라를 표시하는 국기가 있으며 국제 행사를 할 때면 국기를 앞세우고 출전한다.

 

25451A3656D36FD5200396216E6E3B56D36FDC267110

 

승리했을 때는 그 나라 국기가 게양된다. 국가 하면 국기가 있고 개인에게는 그 사람을 대표하는 이름이 있다. 이름을 지을 때는 작명가가 지으며 그 이름은 그 사람을 대표한 것으로 이름을 빛내기 위해 많은 사람은 노력하고 죽은 후에도 훌륭한 사람의 이름은 길이 남는다.

 

2356583656D36FD6187F892462853756D36FCE1B3AF0

 

우리나라 태극기는 조선 말기에 제작되었으며 도형에는 중심에 음양창조를 의미하는 태극이 있으며 사면에 건곤감리의 4괘가 있다. 이는 천지 창조와 무궁 발전을 의미하는 도안이다.

 

2132013C56D36FC81A7B922630BA3C56D36FC91ADE59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다.

 

245BA63656D36FD81668F3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음(陰 : 파랑)과 양(陽 : 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2370833B56D36FD925A2252375E03B56D36FDA2356E4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 : 음 --, 양 ―)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가운데 건괘(乾卦)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坤卦)는 땅을, 감괘(坎卦)는 물을, 이괘(離卦)는 불을 각각 상징한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243AA63656D36FD42522AE225F3B3756D36FCB1D5C55

 

우리나라는 면적이 좁은 작은 나라였으나 국제경기 경쟁에서 부각을 나타내면서 코리아 대한민국이란 이름이 널리 알려졌고 대한민국을 우리의 국기인 태극기가 대표하고 있다.

 

25456A3656D36FD720F113255A973756D36FCF1F0CD7

 

그러므로 세계 어느 곳에서나 태극기 하면 대한민국이다. 자기 이름을 빛내기 위해 노력하듯이 국민이 자기 나라를 빛내기 위해 노력함은 국제경기에서 그 나라 국기가 돋보이게 빛나는 것이다.

 

263B773656D36FE625BCE92571EE3656D36FE70BA0C5

 

이처럼 국기는 나라의 상징이며 존엄성을 국민이 가지고 나라 사랑은 국기사랑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일부 종교단체에서 국기를 우상이라 한다는 데 자기 이름도 우상이 될 수 있는가?

 

따라서 나라의 중요행사에서는 나라에 대한 감사의 표시가 국기에 경례이고 국기를 게양하며 자주독립 국가임을 자랑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나라를 일본에 빼앗겼던 일제 강점기에는 우리의 국기인 태극기를 게양하지 못하고 일본의 국기인 일장기를 게양했다.

 

256ED63B56D36FDA26DC10

 

이제 해방이 되고 독립이 되어 7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 국민은 나라에 대한 고마움을 망각하고 이것은 국기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져 국경일의 의미도 잘 모르며 국경일에 국기게양을 잘하지 않고 있다.

 

국기게양은 행정관서와 지자체, 교육기관인 학교에서는 국기보유실태를 파악하고 국기를 가정마다 갖추게 하고 국경일 전에 홍보자료에 의한 국기교육을 하게 했으면 한다.

 

이번 97주년 3·1절 국경일을 맞이하며 3·1절에 대한 홍보 교육을 하고 3․1절에는 거리마다 집집이 국기를 게양하여 1919년 기미년 3·1운동의 애국심을 모든 국민이 가슴에 품어야 할 것이다.

 

225DB43756D36FE21ED0C72561663756D36FDF1C708C

 

우리나라는 남북이 분단되어 휴전상태에서 불안하게 살고 있으며 호전적인 북한은 온 세계가 반대하는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연구발사를 하고 있으며 남한에 대해 호전적인 협박을 하고 있는데 남한에는 북한을 추종하는 사람들이 있어 한심스러운 일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나라를 적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는 모두가 대한민국이라는 국민으로 뭉쳐야 하며 국민이 뭉쳤을 때는 손에 손에 태극기를 들고 우리의 결속과 다짐을 해야 할 것이다.

 

235AAD3756D36FCD1F42FF2343423656D36FD221B4FB

 

따라서 매년 맞이하는 국경일에는 국경일에 대해 사전교육을 하고 직장마다 집집이 국기 게양을 자랑스럽게 해야 한다. 제97주년 3·1절에 국기를 게양하자

 

        **2016년 2월 26일 정기연 (전, 영암 신북초등학교 교장)**
                            (광남일보에 보도  2/29)


 

****************************************

 

대한민국 태극기의 모든 정보

 

27042249526D6BFB27481E

237E7A40526D7406283597

 

  267CC040526D7405257373 

태극 도형은 반만년 역사속에 우리 민족과 함께 숨쉬어온 정신적 상징입니다.

1.

태극도형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

2.

태극기로는 이조시대 어기라하여 태극주의에 8쾌를 그려
넣어 어기로 사용한바 있었음.

3.

현재와 같은 태극주위에 4쾌가 그려진 태극기는 1874년 고려국기라하여

청국주재 미국인 공사에 의하여 청국에 소개된바 있음.

4.

1882년 8월(음)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에 갔을때

대외공식적으로는 최초로 사용하였다 함.

5.

1883년 1월(음) 고종 20년 태극4쾌가 그려진 기를 국기로 사용토록

왕명으로 공포하엿으나
정확한 제작 사용방법등을 규정하지 않음.

6.

1949년 1월 대통령 특명으로 "국기시정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수차에 걸친 회의끝에 현행국기를 확정하였음

 

※ 당시 5가지 국기도안중 제 3안이 선정되었다.

① 제1안 구왕궁 소장안

② 제2안 군정문교부안

③ 제3안 우리국기 보양회안

④ 제4안 이정혁 건설안

⑤ 제5안 독립문 의거안

7.

1949년 10월 : 국기제작 방법공포(문교부고시 제2호)

8.

1950년 1월 : 국기게양방법공포(국무원고시 제8호)

9.

1966년 4월 : 국기에 관한건 공포(대통령 고시 제2호)

10.

1984년 2월 :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제정공포(대통령령 제11361호)

11.

1987년 4월 :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개정(대통령령 제12148호)
※ 국기강하시각 변경

12.

1989년 3월 :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 개정(대통령령 제12642호)
※ 국기의 실내 게양방법 등 개선

13.

1996년 3월 12일 : 대통령령(제14943호)
※ 국기에 대한 맹세 전문 개정

14.

1996년 12월 27일 : 대통령령(제15182호)
※국기의 표준색도 및 국기게양방법 개정

 

 

2753B04D526D75AE26144B

 

2453C24D526D7EDB2C4C23

 

2652244D526D75B2289E3C

 

2353784D526D75B5268F90

 

맨처음 국기 이름은 '조선국기'

252BCC33526D7FAF09D44E

 

우리나라의 국기가 맨 처음 만들어졌던 조선왕조 시대 때에는
나라의 이름인 '조선'과 함께 '조선국기'라 불렀다.
당시 조선왕조를 나타내는 국가의 명칭이
'조선'이었기 대문에 붙여진 이름이었다.
1882년 최초의 국기가 만들어지고나서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 운동이 일어나기전까지
27여년 동안은 '조선국기'로 불리어져왔었다.

태극기라는 말의 유래

'조선국기'가 '태극기'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바로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을 하던 때부터였다.
18세기 말엽 조선왕조는 관리들의 당파 싸움과 부정부패로
말미암아 나라 꼴이 허약해기기 시작하였다.
이런 기회를 노려오던 일본은
마침내 1910년 조선왕조를 송두리채 빼앗아갔다.
이에 격분한 애국자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독립운동으로 일본에 맞섰다. 1919년 3월 1일 정오에 맞춰 서울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문 낭독과 함께 전국적으로 대한독립 만세 운동를 펼치기로 하였다.
이날 참여한 모든 국민들은 누구를 가리지 않고 손에 손에 '기'를 들고 나오기로 하고, '기' 제작을 하였는데,
그때만해도 '조선국기'로 부르던 국기 이름을
일본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태극기'로 부르자고
약속을 하면서부터 새롭게 퍼지기 시작했다.
이런 사실을 전혀 눈치 채지 못한 일본 경찰은
탑골공원이며 종로거리이며 동대문 성벽까지 가득 메운 인파들이
그렇게도 많은 태극기를 어디서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하여
매우 당혹한 나머지 태극기를 든 사람이라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팔뚝을 자르는 등 끔찍한 만행을 저질렀다.

 

216B0233526D7FB00283D0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하기 위해
우리나라 애국지사들은 중국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만들고,
국기를 바라보며 독립 의지를 불태웠다.
해방되기 3년전인 1942년 3월 1일에는
한국 임시정부수립 23주년 3.1절 선언문을 발표하였는데,
거기에 국기 이름을 '태극기'로 정하고 그 존엄성을 명문화 하였다.
그 내용을 소개하면 이렇다.

「태극기가 국제적으로 사용된 것은 실로 1882년의 일이며,
그로부터 태극기는 한국의 독립주권을 표시하였다.
그러므로 31대혁명 발동에 있어서도 여전히 태극기를 썼으며,
그 깃발은 혁명군중의 선혈에 물든 채 적의 총검 위에 꽂혀졌다.
이처태극기는
3.1대혁명의 발동을 위해서도 없을 수 없는 큰 힘이었으니,
한국 주권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역사의 빛이
바로 여기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태극기에는
부숴질 수 없는 존엄과 인상이 아로새겨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인 살고 있는 곳에는
반드시 한 폭의 태극기를 걸어 놓고 자신이 조국을 잊지 않고 있으며,
나라를 되찾겟다는 민족적 신조를 간직하고 있다는
결심을 표시하여 왔다.」

우리나라에서 국기 문제가 처음으로 나오기 시작한 것은
 1876년에 있었던 병자수호조약을 맺을 때 부터였다.
조약을 맺기 1년전에 일본은 우리에게 문호 개방과 통상을 요구하면서 강화도 초지진에 우리의 허락도 없이 군함 운요호를 정박시켰다.
 강화도를 지키던 우리 수비병대가 즉각 대포를 쏘며 대항을 했다.
이런 과정에서 군함 운요호에 게양된 일본기가 불타 버렸다.
이 사건은 이듬해 강화도 회담에서 우리정부를 궁지에 몰아 넣었다.
 즉, 군함을 허락없이 정박했다 하더라도 국가를 표시하는
일본기를 엄연히 게양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포격을 하게된 이유를 따지자,
우리 정부는 속시원하게 대답할 길이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때만해도
우리 정부에서는 국기라는 말 조차도 없었으며,
도대체 무엇을 국기라고 하는지 조차도 몰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이때부터 국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난처한 입장을 눈치 챈 중국은 황준헌이라는 사신을 통해
삼각형 바탕에 용을 그린 중국의 용기를 본받아
국기로 그려 사용할 것을 간섭하기도 하였다.
그후 우리나라와 중국은 아예 국기 만들기 연락 사신을 임명하여
수시로 접촉토록하였는데 우리나라측 사신은 이응준이었고,
중국측은 마건충이었다.
이때만해도 우리나라는
국기에 대하여 마땅한 식견을 가지고 있지 못한 터라
이미 대륙을 상징하는 용기를 가지고 있는 중국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을 수가 없었다.
중국이 우리나라의 국기에 대하여 집요하게 간섭을 하게 된 까닭은
조선왕조의 땅 한반도를 속국으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22403D33526D7FB13CFA57

 

우리나라에서 국기를 만들어야겠다고 나서게 된 것은
1875년에 있었던 일본 군함 운요호 사건 때문이었다.
일본은 일방적으로 우리의 문호를 요구하면서 허락도 없이
강화도에 그들의 군함 운요호를 무단 정박시켰다.

이에 격분한 강화도의 우리 수비병대는 즉각 대포를 쏘며 대응했다.
우리 수비병대와 일본군 사이에 몇 차례 불꽃튀는 교전이 벌어졌으나, 우리 수비병대는 신무기로 대항하는 일본의 군사력 한테는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었다.

우리 수비병대가 가지고 있는 대포의 사정거리는
멀리 나가봐야 칠백여 미터 정도였지만,
일본이 무장한 대포는 그 보다 몇배 멀리 나갈 뿐만아니라
명중률이 매우 높았다.

그러니 피해는 당연한 우리 수비병대가 클 수밖에 없었다.
우리 수비병대는 35명이 죽었지만
일본군은 겨우 2명 정도밖에 죽지 않았다.
이런 피해를 당하고도 우리는 일본에 대하여 보상 요구 조차하지 못했다.
오히려 일본이 더 피해 요구를 많이 해왔다.

그 이유로는 일본 군함 운요호에 게양되었던 일본기가
우리 수비병대의 대포에 의해 불타 없었졌기 때문이다.
일본군의 트집은 이러했다.
나라를 표시하는 국기를 달고 바다를 운항하는 모든 배들은
전쟁이나 약탈의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약속되어 있는데,
강화도 수비병대는 그것을 무시하고 포격을 했고,
더군다나 나라의 얼굴이나 다름없는 일본기를
고의적으로 명중시켜 불태웠다는 주장이었다.

국기?
무엇이 그토록 중요하단 말인가?
우리로서는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노릇이었지만
일본은 수비병대 35명의 목숨을 잃은 것 보다 더 분노에 차 있었다.
일본기를 대포로 쏘아서 불태운데 대한 응분의 사과와 보상이 없으면
정식으로 선전포고나 다름없는 행위로 간주하여
이에 대한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니 참으로 답답할 일이었다.

이유야 어찌되었던 우리 입장에서는
더 이상의 전쟁은 없어야겠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었다.
정당한 방어를 하다가 오히려 피해를 더 입은 우리측이
일본기 하나 잘 못 건드려 낭패를 당하고 말았으니
이 보다 큰 망신이 어디있겠는가.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는 일본이 요구하는 보상과 함께 문호를 개방하겠다는
 수호조약을 맺게 되었고,
국기의 필요성을 수모와 함께 느끼게 되었다


 *** 옮긴글***

 

15271D0B4A2C70D90D71A5

 

48b1b8b0d232f

270BCB4A56D4E4EF13A7B7
 




蓮 楚 咸 昌 岐
010-8934-259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57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33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78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53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583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53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21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5
153 대상과인식과정 박영숙영 2019.06.06 66
152 그날이 오면 (심훈) 박영숙영 2019.04.04 284
151 이황의 풍물시/ 문경새재/ 한벽루/ 정약용/신경림 목계장터 박영숙영 2018.01.27 415
150 나옹/ 목은 이색/이규보/ 정철/기대승과 이황의 동호 전별 시 화답시 박영숙영 2018.01.27 590
» 아, 우리나라 국기, 태극기 [스크랩] 박영숙영 2016.06.20 572
148 옛날 옛적의 귀한 이미지 자료 박영숙영 2016.04.09 329
147 짚신신고 이렇게도 못살았는데 박영숙영 2015.08.04 375
146 꽃등/ 류시화 박영숙영 2015.06.14 374
145 <'感興' 중 - 白居易> 박영숙영 2015.05.12 150
144 화비화(花非花) - 백거이 박영숙영 2015.05.12 1773
143 낙서재(樂書齋) _ 고산 윤선도 박영숙영 2015.05.12 432
142 바다를 가르며(泛海 범해) _ 최치원 박영숙영 2015.05.12 440
141 俊禪子(준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박영숙영 2015.05.12 201
140 퇴계가 두향에게 보냈다고 전해진 시 박영숙영 2015.05.12 434
139 집착하지 않는 삶 박영숙영 2014.09.07 237
138 > 흰구름 걷히면 청산인 것을 < 박영숙영 2014.09.07 266
137 > 오만가지 생각이 한 점 눈송이다,< 청허 휴정 선사 박영숙영 2014.07.16 729
136 長恨歌(장한가) - 백거이 박영숙영 2014.09.07 9737
135 춘산에 / 우탁 박영숙영 2014.06.18 245
134 고시조 모음 박영숙영 2014.06.18 19066
133 [시조모음 ]<백설이 자자진 골에> 묵은 이색 박영숙영 2014.06.24 11097
132 靜夜思(정야사) - 이백 (중국명시) 박영숙영 2014.05.08 2386
131 도연명 陶淵明, 중국 晉나라 시인 박영숙영 2014.06.18 246
130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박영숙영 2014.06.16 215
129 賦得高原草送別(부득고원초송별)-백거이 (중국명시) 박영숙영 2014.05.08 773
128 遊子吟(유자음)-맹교 (중국명시) 박영숙영 2014.05.08 3173
127 파초우 /조지훈 박영숙영 2014.05.08 2614
126 고사(古寺)" /조지훈 박영숙영 2014.05.08 561
125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359
124 귀촉도(歸蜀途)/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906
123 벽(壁)/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1800
122 봄이 오면 산에 들에 /홍성란 박영숙영 2014.05.07 261
121 홍성란 /바람불어 그리운 날 박영숙영 2014.05.07 240
120 따뜻한 슬픔 ...홍성란 박영숙영 2014.05.07 323
119 홍성란 /들길 따라서 박영숙영 2014.05.07 525
118 홍성란 / 명자꽃 박영숙영 2014.05.07 831
117 시조대상 수상작 모음/ 홍성란, 정수자 박영숙영 2014.05.07 434
116 正月二日立春 [입춘]/ 퇴계 이황 박영숙영 2014.02.16 906
115 조국의 영웅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ㅡ "딴맘 먹지 말고 죽으라" 박영숙영 2014.02.14 767
114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2.10 5664
113 파초우(芭蕉雨)/詩: 조지훈 박영숙영 2014.02.10 824
112 "不變(불변)" /학명선사 박영숙영 2014.02.06 573
111 靜坐然後知平日之氣浮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 박영숙영 2014.02.06 443
110 冬夜(동야) - 金三宜堂(김삼의당) 박영숙영 2014.02.06 426
109 思齋 / <眞樂在閑居 金正國(1485~1541)> 박영숙영 2014.02.06 249
108 [스크랩]황진이 시모음 박영숙영 2013.07.05 4178
107 遣憂(견우) - 丁若鏞(정약용) 박영숙영 2014.02.06 285
106 不疎亦不親(불소역불친) 박영숙영 2014.02.06 399
105 (詩)로 보는 이순신의 생각 읽기 박영숙영 2013.02.22 730
104 이순신 장군의 시조 모음 박영숙영 2013.02.22 6965
103 한국의 위인, 성웅 이순신 장군의 명언 박영숙영 2013.02.22 688
102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박영숙영 2013.02.22 1723
101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박영숙영 2013.02.22 798
100 (한 손에 가시 쥐고)-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511
99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박영숙영 2013.02.22 632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37
어제:
100
전체:
88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