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창작터
| 최선호의 창작실 | 내가 읽은 좋은 책 | 독자창작터 | 비밀글쓰기 | 회원신간 | 추천도서 | 문학자료실 | 일반자료실 |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Love your enemies and pray
2016.12.25 16:26
[최선호 목사 칼럼]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Love your enemies
and pray)
2009-06-23 (화) 22:04 ㆍIP: 99.xxx.206 ㆍ추천: 0 ㆍ조회: 크리스천뉴스위크
최선호 (메시야 감리교회 담임목사)
오는 25일은 1950년 한국전쟁으로 세계가 발칵 뒤집혔던 날입니다. 6 ․ 25 동란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희생을 당한 백성들과 국가 재산의 손실을 어찌 다 헤아려 낼 수가 있겠습니까? 뿐만 아니라 당시 한국을 도우려고 왔던 미군의 사망자 수만 하더라도 무려 5만 5천 명, 부상자 10만 3천 2백 8십 4 명, 실종자 5천 1백 7십 8 명이나 달하는 대혼란이 우리 강토를 홀딱 뒤집어 놓았었습니다. 한 마디로 삼천리금수강산은 동족으로 인해 흘린 피바다가 되었었습니다.
삼팔선이 그어진 후, 남북이 갈리어 이산된 가족이 아직도 천만을 넘는 수를 헤아리고 있습니다. 부모와 처자를 그리워하다가 눈물로 세상을 보낸 백성들이 부지기수에 이릅니다. 이러한 비극이 북한의 남침으로 야기되었습니다. 북한의 만행으로 재산을 잃고 가족을 잃고, 목숨까지 잃은 사람들의 분노야말로 얼마나 크고 억울하겠습니까?
그때 당했던 비극으로 아직도 고통 속에 있는 백성들의 수가 적지 않으니 이 원통함을 무엇으로 대신할 수 있겠습니까? 여행하는 여인을 사살하고도 말 한마디 없는 그들입니다.
분명히 북한 공산당은 자유대한의 원수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모세의 법에 따르면 원수는 갚아야 합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핍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 이같이 한즉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아들이 되리니…”라고 하셨습니다. 이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입니까? 나를 도와 준 자들도 아닌데 원수를 사랑한다는 것은 천부당만부당한 일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과 스데반은 이 일을 실천하였습니다. 한국의 손양원 목사님도 아들을 살인한 원수를 양자로 삼는 사랑을 실천하였습니다. 미국의 링컨 대통령은 자기를 욕하고 저주하던 원수 같은 자를 국방장관에 임명하는 포용을 베풀었습니다.
이런 삶은 화평케 하는 삶입니다. “화평케 하는 자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마5:9)라 하였습니다. 하나님의 아들 되는 일이 이렇게 어렵습니다. 화평케 하려면 먼저 용서해야 합니다. 용서 없는 화평은 거짓 화평입니다.
“서로 용서하자. 우리가 이 세상에서 평화를 누리며 사는 방법은 단 한 가지 길밖에 없으니 그것은 곧 먼저 용서하는 것이다”라고 톨스토이는 말했습니다. 용서하되 먼저 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도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자기를 십자가에 못 박는 원수들을 위해서 “아버지여 저들을 용서하소서. 저들은 자기들이 하는 일을 알지 못함이니이다”라고 기도하셨습니다. 스데반도 돌에 맞아 죽으면서 자기를 행해 돌을 던지는 자들을 위하여 예수님과 같은 기도를 했습니다.
원수를 용서하는 일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선을 베풀어야 합니다. 선으로 악을 이기고 사랑으로 미움을 극복해야 합니다. 죄인 된 우리를 사랑하신 주님을 생각하면서 우리도 사랑을 베푸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야 합니다.
최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6세 된 3남 김정은에게 대물림을 할 계획을 성사시키기 위하여 핵실험으로 위용을 보이려 하고, 전쟁 분위기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그들의 의식구조를 바꾸는 일에는 자유세계진영의 공동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우선 전쟁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해야 하고, 핵무기 생산을 포기시켜야 함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지금 김정일이 하는 일은 분명한 불장난입니다.
과거나 지금이나 북한은 우리를 괴롭힌 적이요 원수이지만 미움으로 대결하기보다는 관용으로 포용하고 그들과 화목하는 길을 모색하여 평화의 분위기를 찾는 길이 하나님을 섬기는 백성들의 자세입니다. 6 ․ 25를 상기하면서 가슴 아픈 일이 참으로 많지만 하나님의 뜻을 살펴 복 받는 백성으로 확실하게 믿고 살아야 합니다.
이와 같이 내 주변에 용서해야 될 대상들을 찾아서 먼저 용서하고 선행으로 일관하는 복된 삶이야말로 가장 귀한 참 삶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71 | <삶의 놀라움> 살아있음은 그야말로 엄청난 놀라움이다 | 최선호 | 2016.12.25 | 93 |
170 | '그 분께 바치는 노래' | 최선호 | 2016.12.25 | 69 |
169 | 신간소개/ 시편정해 | 최선호 | 2016.12.25 | 32 |
» |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Love your enemies and pray | 최선호 | 2016.12.25 | 88 |
167 | <살며 생각하며> 조화와 생화 | 최선호 | 2016.12.25 | 140 |
166 | <살며 생긱하며> LA의 추석 | 최선호 | 2016.12.25 | 54 |
165 | [인터뷰]시인 최선호 목사, 뉴욕에서 ‘기독교문학과 영성’ 강의 | 최선호 | 2016.12.25 | 99 |
164 | 최선호 목사 '시편정해' 증보판 출간 | 최선호 | 2016.12.25 | 296 |
163 | <시론> 제야 종소리의 의미 | 최선호 | 2016.12.25 | 200 |
162 | <살며 생각하며> 다시 한글을 생각하며 | 최선호 | 2016.12.25 | 38 |
161 | [인터뷰]시인 최선호 목사, 뉴욕에서 ‘기독교문학과 영성’ 강의 | 최선호 | 2016.12.25 | 125 |
160 | <시론> 인구문제와 한국인의 정체성 | 최선호 | 2016.12.25 | 60 |
159 | =기독문학상 수상소감= 하나님의 영광과 행복을 찾아서 | 최선호 | 2016.12.25 | 301 |
158 | <삶의 놀라움> 시성 괴테는 | 최선호 | 2016.12.25 | 143 |
157 | <삶의 놀라윰> 삶의 놀라움이야말로 가장 높은 산의 정상에 올라 있는 | 최선호 | 2016.12.25 | 232 |
156 | <삶의 놀라움> 자살은 삶의 놀라움을 역행하는 행위 | 최선호 | 2016.12.25 | 32 |
155 | <삶의 놀라움> 단테와 괴테 | 최선호 | 2016.12.25 | 332 |
154 | <삶의 놀라움> 에서 개인이나 공동체에서 부르심의 음성을 들을 수도 있다 | 최선호 | 2016.12.25 | 66 |
153 | <삶의 놀라움> 삶의 놀라움은 우리를 하나님과 멀리 있게 하지 않는다 | 최선호 | 2016.12.25 | 86 |
152 | <살의 놀라움> 한번 비췸을 얻고 | 최선호 | 2016.12.25 | 55 |